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SNS)의 사용과 사용자의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이 어떻게 연결이 되어 있고, 어떠한 상호 작용을 하는지를 조사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기존의 SNS와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들이 연구 대상자들의 SNS 사용 기억에 의거하여 자기 기입(self-reporting) 방식으로 진행되었다는 것과는 다르게, 본 연구는 대상자들에 실제 SNS를 사용하게 하는 실험 방식을 사용하여 그 관계를 조명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가장 각광 받고 있는 SNS 중에서 인스타그램(Instagram)과 스냅챗(Snapchat)이 선택 사용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냅챗 이용자는 인스타그램 이용자와 대비하여, 결속적 사회자본(bonding social capital) 성향이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경우 스냅챗 이용자보다 교량적 사회자본(bridging social capital)이 강화되는 것은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스냅챗을 이용할 경우, 이용자는 이용자의 결속적 사회자본이 이용하기 전보다 강화되는 것이 발견되었다. 하지만 인스타그램 이용은 이용자의 사회적 자본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인식이 SNS 플랫폼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실험을 통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밝혔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SNS와 이용자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builds upon existing research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ing sites (SNS) use and social capital by investigating what drives the underlying reciprocal interaction. While prior investigations of the SNS-social capital relationship employed self-report methods, this study employs a laboratory-based experiment. As strong exemplars of SNS, Snapchat and Instagram, specifically, were chosen for investigative focus.
A total of 161 undergraduate students from a major southeastern university in the U.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in exchange for extra credits. Participants were provided questions about their usage patterns, such as time spent on SNS usage in general and intensity of the assigned SNS use (Snapchat or Instagram). Then, participants were asked to log into their Snapchat or Instagram accounts and spend twenty minutes using it as they normally would, such as posting snaps and liking and browsing pictures of others. Based on the average time spent per day on Instagram and Snapchat by U.S. users, the twenty-minute experimental condition was designed. After twenty minutes, their social capital was measured Results demonstrated that participants who used Snapchat were more highly associated with bonding social capital (strongly tied relationship) than those who used Instagram. However, using Instagram did not lead participants to be more concerned with bridging social capital (weakly tied relationship) than those using Snapchat. In addition, when an individual’s social capital was examined as it existed both prior to and after using SNSs, only bonding social capital in the Snapchat condition was significantly changed. After using Snapchat, individuals’ bonding social capital became stronger than it was pre-SNS engagement. However, when individuals used Instagram,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ridging social capital was detected.
Through the laboratory experiment, the current research can provide more valid and accurate data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 between SNS use and users’ social capital. Since it is challenging for individuals to remember or precisely describe their SNS use, several researchers have expressed the need to adopt more ideal methods to directly measure data, such as a laboratory-based study. By avoiding the validation issues that exist with self-report measures, the current research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in methodological approaches to SNS research. In addition, the study found that bonding social capital can be influenced by a certain type of SNS platform (e.g., Snapchat), whereas bridging social capital was not. Hence, individuals can obtain their bridging social capital without limitation with regard to SNS type, but to obtain bonding social capital, a SNS platform that allows one to interact and develop strong social ties can be more effective than other SNS platforms. At the same time, given that social capital allows a person to make use of resources from other members in one’s networks, it can be expected that using Snapchat, which can remind users of their bonding social capital, may be more effective for brands to construct strong ties with their consumer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beneficial for brand managers creating SNS marketing plans.

목차

1. Introduction
2. Theoretical background
3. Method
4. Results
5. Discussion
References
ABSTRACT

참고문헌 (4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331-000606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