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3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collective intellectual aspects of sports fandom.
Method: As a result of interviews with 5 resear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online fan community in Kim, and analysis through community data, the collective intelligence of sports fandom was as follows.
Results: First, identification with a star through consumption of star advertisement goods and granting of a unique status to a star. Second, sharing and re-creating information that saves, interprets, frees and distributes content on its own, and produces information without the help of experts through the process of collaboration and interaction. Third, imitating the athletes’ donation activities, the fandom also implements donation culture, and imitates and cultivates its own. Forth, it is a critic that aims to bring about social change through social solidarity and to bring about institutional change.
Conclusion: Modern pop culture fans have escaped the notion of passive status as a receiver and a simple audience. There is a need to pay attention to sports fandom, which is regarded as a proactive and productive cultural worke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스포츠 팬덤의 집단 지성적 특성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75)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692-000500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