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2.196.223
3.142.196.223
close menu
KCI 후보
가치사슬역량과 FTA 활용수준이 중소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alue Chain Capabilities and FTA Utilization Level on SMEs’ Performance : Focused on SMEs in Jeollanam-do Province
정윤호 ( Yun-ho Jeong ) , 이재은 ( Jae-eun Lee )
DOI 10.51858/KBMJ.2022.02.6.1.125
UCI I410-ECN-0102-2023-300-000595856

본 연구는 경쟁이 심화되어가는 글로벌 경영환경 하에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가치사슬역량(주활동역량과 지원활동역량)과 FTA 활용수준이 중소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전라남도에 위치한 117개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치사슬 활동 중 주활동역량은 중소기업의 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들이 강조하는 바와 같이 주활동역량은 기업의 비용절감, 생산성 향상 등 경쟁우위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중소기업의 경영성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가치사슬 활동 중 지원활동역량은 중소기업의 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원기반관점을 채택한 연구들이 강조하는 바와 같이 기술개발, 인적자원관리 등 가치창출 활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보조활동이 기업의 내부 경영자원 및 내부역량으로써 지속가능한 경쟁우위를 창출에 기여함으로써 경영성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FTA 활용수준은 중소기업의 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다양한 FTA가 발효되고, 상이한 원산지결정기준 적용 등 혜택 증가와 함께 복잡성 역시 증가되고 있지만, FTA의 활용수준이 높은 기업들은 유용한 사전지식을 축적하고 지식역량을 키울 수 있어 경영성과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거시적인 차원의 FTA 연구가 아닌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미시적인 차원의 FTA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 FTA와 연계하여 가치사슬역량을 주활동역량과 지원활동역량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 가치사슬역량과 FTA 활용수준을 높임으로써 중소기업의 경영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결과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유용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s of value chain capabilities and FTA utilization level on SMEs' performance.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of 117 SMEs located in Jeollanam-do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apabilities for primary activities of value chain capabil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SME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capabilities for support activities of value chain capabil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SMEs.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FTA utiliz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S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 usefu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SMEs by increasing the value chain capabilities and the level of FTA utilization.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가설 설정
Ⅳ. 연구방법
Ⅴ. 분석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