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224.135
3.144.224.135
close menu
KCI 등재
24개월 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특성 분석과 양육군집 탐색에 대한 연구
An analysis of parenting stress characteristics of mothers of 24-month-old infants and an exploration of parenting clusters
홍정은 ( Jeong-eun Hong ) , 홍수종 ( Soo-jong Hong ) , 이경숙 ( Kyung-sook Lee )
DOI 10.47801/KJIMH.15.1.2
UCI I410-ECN-0102-2023-100-000728282

본 연구는 24개월 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특성을 분석하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우울, 불안, 결혼만족도 4가지 요인에 대한 군집분석을 통해 양육군집을 탐색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국립보건연구원 소아호흡기알레르기질환 장기 추적 코호트 연구(COCOA: Cohort for Childhood Origins of Asthma and Allergic Diseases)의 24개월경 영유아 정신발달검사에 참여한 어머니 986명이었고, 다중회귀분석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양육스트레스 특성을 분석한 결과, 아동영역에서 주의산만·과잉행동, 부모영역에서는 역할제한이 가장 스트레스가 높았다. 군집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정 양육집단은 우울, 불안, 결혼불만족, 양육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집단으로 애착, 관여, 양육효능감, 훈육과 관계좌절감에 가장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 특성 양육취약집단은 우울, 불안, 결혼불만족감이 두 번째로 높고, 양육스트레스의 부모영역에서 높은 수준을 보인 집단으로 부모-자녀관계에서 다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적 영향력이 낮았다. 셋째, 아동특성 양육취약집단은 아동영역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으로 부모-자녀관계의 애착영역에 가장 높은 부적인 영향을 가진 특징으로 나타났다. 넷째, 안정 양육집단은 우울, 불안, 결혼불만족, 양육스트레스가 가장 낮은 집단이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유아기 양육특성에 따른 군집유형의 결과를 적용하여 영유아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유아기 양육특성별 부모 양육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parenting stress characteristics of mothers of 24-month-old infants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Parenting Stress Test (K-PSI) and explores parenting clusters through cluster analysis of four factors: parenting stress, anxiety, depression,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participants were 986 mothers at 24 months after childbirth, which is based on the longitudinal study on mental development of infants and toddlers as part of the Cohort for Childhood Origins of Asthma and Allergic Diseases_(COCOA) study, a long-term follow-up study sponsor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_(KCDC). To analyze the data, cluste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ing stress, distraction in the child area and role limitation in the parent area were the highest. As a result of analysis, four types of clusters were classified. First, The unstable parenting group showed the highest for the four factors. This group was found to have the most negative effect on parent-child relationship. Second, The mother characteristic parenting weak group showed a high level of parenting stress in the parent area. This group was relatively less influential i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Third, The child characteristic parenting weak group was a group with high parenting stress in the child area. This group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negative effect on the attachment. Fourth, The stable parenting group showed the lowest for the four factors. The study can be used to develop a parenting support program by applying the results of the four cluster type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