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7.155.88
3.17.155.88
close menu
KCI 등재
관광지 유형에 따른 관광지 길 찾기 경험요인 및 핵심 터치포인트 발굴
Exploration of Experience Factors and Key Touch Points for Finding a Way to a Tourist Destin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Tourist Destination
박세훈 ( Park Se Hun ) , 구유리 ( Koo Yoo Ri )
DOI 10.47294/KSBDA.24.2.13
UCI I410-ECN-151-24-02-088646551

본 연구 목적은 관광지 유형별로 길 찾기 경험요인과 터치포인트를 발굴하여 관광지 유형에 따라 관광객들이 관광지로 편리하게 이동하고 관련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지역의 안내체계를 개선하는 것이다. 길 찾기 개념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안내체계의 심미성’, ‘정보의 편리성’, ‘정보의 상호작용성’, ‘장소의 상징성’ 4가지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요인을 도심형 관광지, 역사문화형 관광지, 자연형 관광지를 대상으로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안내체계 심미성은 많은 관광객이 방문하며 구조물이 있는 도심형은 심미성을 부여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역사·문화형은 해외 사례가 심미성이 뛰어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연형은 재료 및 관리의 어려움으로 심미성보다는 기능성에 집중하고 있다. 정보의 편리성은 도심형의 경우는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역사·문화형은 해설 기능을 중시하고 있다. 자연형은 공간 제약으로 한정적인 정보만 제공하고 있다. 정보의 상호작용성은 도심형의 경우 관광객과 의견 교환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고, 역사문화형은 국내 사례와 해외 사례 수준이 큰 격차를 나타내고 있다. 자연형은 정보 변경이 매우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소의 상징성은 도심형의 경우 랜드마크가 명확함에도 불구하고 미흡한 수준이다. 역사적 의의가 높은 역사문화형은 상징성이 높게 나타나지만 유사한 자연경관을 보유한 우리나라 특성상 자연형의 상징성이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관광지 유형별로 안내체계의 길 찾기 경험요소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관광안내체계를 개선을 위한 방향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improvements to the travel guidance system used in South Korea. It was done so that tourists could learn about travel destinations in the country and access them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This was done by using wayfinding experience factors and touchpoints for each type of destination. Four wayfinding factors were used: “Aesthetics of the Guidance System,” “Convenience of Information,” “Interactivity of Information,” and "Symbolism of Sites.” Analyses of these factors were carried out involving three kinds of tourist destinations: urban, historical/cultural, and nature-based. They revealed that urban destination types visited by many tourists were working to increase the aesthetic appeal of their guidance systems, while the historical/cultural types already boasted an excellent level-especially those located overseas. The nature-based types focused on functionality due to the wide range in their make-ups and the resulting difficulties managing their guidance systems. In terms of convenience, the urban types provided a wealth of information, while the historical/cultural types emphasized commentaries. The nature-based ones offered only a limited amount of information. In terms of interactivity, urban types allowed tourists and information providers to exchange their opinions easily, while the historical/ cultural ones showed a large gap between those located in South Korea and those found overseas. The natural types once again had many limitations. With regard to symbolism, the urban types showed insufficient levels, in spite of offering clear and distinct landmarks. The historical/cultural types showed a high level of symbolism, while the natural ones showed a low level because of their similarity to ones found in other parts of the country. The merit of this study lies in the value of its analyses of the different elements of the guidance system’s wayfinding data for each type of tourist destination. It also suggests various ways of improving the system.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사례 분석
4.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