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65.19
3.145.65.19
close menu
KCI 등재
머신러닝 기반 색채분석을 통한 학습 몰입력 도출에 관한 연구 - 유·아동 스마트학습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n Learning Attention through Machine Learning-based Color Analysis - focused on smart online learning for children -
김미숙 ( Kim Mee Sook ) , 이윤진 ( Lee Younjin )
DOI 10.47294/KSBDA.24.1.3
UCI I410-ECN-0102-2023-600-00111642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동이 접하고 있는 대표 스마트학습지의 교육 콘텐츠 내 쓰이는 색채들을 머신러닝 기법 중 하나인 K-평균 군집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색채를 분류하고, 전문가에 의해 수행된 색채분석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좀 더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색채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콘텐츠별 색채 구성에 따라 유·아동 학습 몰입력과 눈의 피로도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유·아동학습 몰입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색채 구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3개 이상 과목을 서비스하는 에듀테크 기업 중 3개사의 브랜드를 선정하고, 6~7세 유·아동이 선호하는 ‘한글’ 과목으로 선정한다. 선정된 학습프로그램 색채를 K-평균 군집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이미지 추출, 색채분류, 색채추출 과정을 거쳐 색 선호도를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한다. 그 결과 첫째, 3사 모든 기본 메인화면에는 브랜드아이덴티티를 나타낼 수 있는 로고와 심볼, 캐릭터에 사용된 색채들을 강조색으로 적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동의 한글 학습프로그램의 화면에 나타난 색채는 브랜드아이덴티티 컬러를 배경색에 적용하고 있고, 그 외 다양한 색들이 혼재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둘째, 6~7세 남/여아들을 각각 30명씩 총 60명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로 성별 구분 없이 공통적으로 선호하는 색채 순으로는 ‘1060-Y, 0580-Y30R, 1060-R’이며 주로 장파장 계열의 색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동들이 선호하는 색채를 강조색으로 효과적으로 배치한다면 학습 몰입력 향상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학습프로그램 화면의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주조색과 보조색의 배색을 단파장 계열의 대비가 크지 않은 색들로 조화롭게 배색을 하고, 학습프로그램 내용상 유·아동들에게 중요하거나 포인트가 되는 부분의 내용이나 일러스트를 선호하는 장파장 계열의 색, 저명도 고채도의 색채를 사용하여 학습 몰입력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colors used in the children’s educational content of representative smart learning by applying the K-Mean Clustering algorithm, one of the machine learning techniques and then to suggest more objective and specific methodologies for color analysis through comparing our analysis with color analysis conducted by experts. In addition, our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s learning attention and their eye fatigue according to the color composition of each content and suggesting color compositions that can affect children’s attention. Our methodology is divided into two steps. First, among the edu-tech companies that serve more than three subjects, our study selects three companies. “Hangul” is selected which is the most preferred subject by children ages 6 to 7. Second, K-Mean Clustering algorithm employed in our study conducts image extraction, color classification and color extraction. K-mean clustering algorithm is one of the efficient ways, which can decompose image pixels and group same or similar colors by converting color to numerical information. After that, the colors extracted by the algorithm are used in the color preference interview. Our study has interviews with parents and their children about color preference. The results show that the three companies use highlight colors on their logos, symbols and colors used in characters. This is to effectively represent their brand identity on the basic main screen. The color, which represents brand identity, is mainly applied to the background with various other colors. As a result of interviewing 60 people consisting of parents and children ages 6 to 7, the common preferred colors are ‘1060-Y, 0580-Y30R, 1060-R’, which are long-wavelength colors. The long-wavelength colors can attract and maintain the children’s attention. That is, effective placement of children’s preferred colors as highlight colors can affect the improvement of learning attention. It can help children learn various knowledge efficiently in a short time and increase their concentration on learning. Lastly, it is expected that using color of long wavelength series, high brightness, and high chroma is an important point for learning conten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children’s learning attention.

1. 서론
2. 스마트학습지와 유·아동 색채학습 몰입력
3. 스마트학습지 색채분석
4. 결과도출
5. 결론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