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9.67.207
3.19.67.207
close menu
KCI 등재
현대 패션쇼에 나타난 가상적 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rtual Expression in Modern Fashion Show
강준호 ( Kang Jun Ho ) , 권기영 ( Kwon Gi Young )
UCI I410-ECN-0102-2021-600-000223021

본 연구는 가상에 대한 개념과 철학적 사고를 토대로 현대 패션쇼에 나타난 가상적 표현 유형을 범주화하고 의미를 도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방법과 범위는 국내외 관련 전문서적, 논문, 저널, 기사, 웹사이트 등의 문헌 연구를 토대로 이론적 고찰을 선행 후 디지털 가상을 활용한 패션쇼가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한 2010년 이후 사례를 범위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고대부터 시작된 가상에 대한 논의는 형이상학의 개념으로 다양한 철학적 관점이 존재하며, 현대사회에서 가상은 디지털을 기반으로 한 영어의 ‘virtuality’로 표기되며, 독일어는 ‘schein’으로 표기된다. 철학적 접근에서 가상(schein)은 ‘빛나다’, ‘가시화되다’, ‘가짜’라는 세 가지의 다중적 개념을 가지며, 이를 통해 예술 분야에 나타난 가상과 예술의 본질적인 표현 특성은 빛을 이용한 가상, 현실과 중첩된 가상, 시각적 오류를 이용한 가상으로 범주화 된다. 현대 패션쇼에 나타난 가상적 표현 유형을 분석한 결과 그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상적 표현은 디자이너의 자유로운 콘셉트 표현을 가능하게 하며, 비형식적인 패션쇼 연출로 디지털 가상을 통한 새로운 조형미를 생성한다. 둘째, 패션 기업은 디지털 매체를 통해 기존의 틀에서 벗어난 과감한 연출을 패션쇼에 시도함으로써 관람객들에게 공감각적인 체험을 제공하며, 콘셉트에 충실한 실험적이고 혁신적인 연출은 소비자와 함께 교류하며 정확한 브랜드 메시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셋째, 디지털 기술로 구현한 가상적 표현을 보이는 패션쇼는 패션업체와 소비자간의 상호소통을 확대하며, 패션산업의 디지털 가상 패러다임을 구축하는 역할을 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상과 같이 패션쇼에서 나타난 가상적 표현은 패션쇼 연출에 다양한 영감을 제공하며, 시각적 표현 영역의 확장을 위한 미적 체계화를 수립하는데 기여하리라 기대한다.

This study categorizes the types of hypothetical expressions and meaning in modern fashion shows based on philosophical virtuality.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shion show based on professional books, articles, journals, articles, websites which is related to digital fashion show since 2010. The virtual philosophical concepts are 'luminous', 'visualized', 'fake' and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are categorized into virtuality using light, nested virtuality with reality, virtuality using visual error. Virtual expression types in modern fashion shows are divided and extended of runway space using light, new expression mixed situations emerged by summarizing imaginary images beyond space-time into reality. And the expression of multidimensional space gives a visual error, and the audience can immerse. The analysis of the types of virtual expressions in modern fashion shows means the following. First, virtual expression can freely express the concept of designers, and a new formative beauty is created through digital imagination as a method of informal fashion shows. Second, fashion companies produce bold fashion shows through digital technology, and transmit brand messages to consumers through experimental and innovative performance. Thirdly, digital paradigm is constructed as active recognition and analysis of fashion products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in the digital environment and participation and shar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virtual expressions in modern fashion shows can provide a variety of inspiration to performance and establish aesthetic systematization for the expansion of visual expression.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현대 패션쇼에 나타난 가상적 표현 유형
4. 현대 패션쇼에 나타난 가상적 표현의 의미
4.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