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2.205.5
18.222.205.5
close menu
KCI 등재
프로즌 해프닝: 뉴 미디어 아트에서의 재발견
Frozen Happening: Rediscovery in New Media Art
권경아 ( Kwon Kyoung Ah ) , 윤준성 ( Yoon Joon Sung )
UCI I410-ECN-0102-2021-600-000292944

본 논문은 뉴 미디어 아트에서 프로즌 해프닝의 출현 방식과 의미 변용에 관한 개론적 탐구다. 본 연구에서 프로즌 해프닝의 특성은 ‘유동성(fluidity)’과 ‘가상성(virtuality),’ 두 가지 측면으로 고찰된다. 이 속성들은 뉴 미디어 아트에서 프로즌 해프닝의 위치와 역할을 결정하고 전통 예술과의 차별화를 제공한다. 프로즌 해프닝이라는 용어는 반 데르 마르크(Van der Marck)가 조지 시걸(George Segal)의 작품이 군집된 조형물들을 통해 특정 사건을 불러일으킨다는 점에서 그의 작품에 부여한 명칭이다. 시걸은 조형물을 제작할 때 주로 살아있는 모델의 신체로부터 외형을 얻는 ‘라이프 캐스팅(life-casting)’ 기법을 이용하는데, 이런 제작 방식은 분장을 한 사람들이 회화나 연극의 특정 장면, 신화, 역사적 사건들을 짧은 시간동안 무언(無言)과 부동(不動)으로 연기한 ‘타블로 비방(Tableaux Vivant)’과 형식적 유사성을 가진다. 본 논문은 이런 맥락에 기초해서 뉴 미디어 아트에서 프로즌 해프닝의 미학적 의미를 확인하며, 이를 위해 요안나 바르크(Joanna Barck)의 타블로 비방에 관한 연구를 이론적 분석 틀로서 이용한다. 본 논문은 디지털 영화 및 컴퓨터 상호작용 예술, 인공진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사례를 통해 이를 예증한다. 디지털 영화에서 프로즌 해프닝은 반투과적인 전환들로 특징화되는 ‘유동적인 것’으로서 나타나며, 컴퓨터-기반 상호작용 예술에서는 그것의 ‘가상성’에 의해 숨겨진 이벤트와 조우할 수 있는 관문으로서 기능한다. 마지막으로, 인공진화 알고리즘의 생성 구조를 조각과 프로젝션 형식으로 함께 제시한 생성 예술 사례는 ‘움직임이 없는 살아있음’의 역설을 통해 살아있는 모델과 그것의 동결이 가지는 의미를 비유적으로 제시한다.

This paper is an introductory exploration of the emergence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meaning of “frozen happening” in new media art.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are noted in two aspects: ‘fluidity’ and ‘virtuality.’ These two properties determine the position and role of it in new media art, while also distinguishing it from traditional art. The term frozen happening is a name given by Van der Marck to George Segal’s works in that it evokes specific events through crowded figures. Segal mainly uses the ‘life-casting’ technique of making moulds from the body of living models. This approach has a formal similarity to the Tableaux Vivant, in which dressed-up people acted with silent and immobile certain scenes in painting or theater, myths or historical events in a short time. Based on this context, this paper confirms the aesthetic meaning of frozen happening in new media art, and uses Joanna Barck’s study of Tableaux Vivant as a theoretical analysis framework. And this paper illustrates this through digital cinema, computer-based interactive art, and generative art using artificial evolution algorithm. In the first case, frozen happening appears as a ‘fluid’ characterized by translucent transitions, and in the second, it functions as a gateway to encountering events hidden by ‘virtuality.’ Finally, the case of generative art, which presents sculpture and projection together, metaphorically suggests the meaning of living and its freezing through the paradox of ‘living without movement.’

1. 서론
2. 프로즌 해프닝과 라이브 모델
3. 뉴 미디어 아트에서 프로즌 해프닝
4.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