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7.205.232
3.17.205.232
close menu
KCI 후보
코로나 시대 한국 신화 속 꽃 상상력을 통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사례 연구-신화 교양 프로젝트 수업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through the Imagination of Flowers in Korean Mythology during the COVID-19 Era -Focusing on the Myth Liberal Arts Project Class-
표정옥 ( Pyo Jung-ok )
교양교육과 시민 7권 63-85(23pages)
DOI 10.47142/GEC.7.3
UCI I410-ECN-0102-2023-300-001150699

본 연구는 2020년부터 2022년 사이 진행되었던 신화 관련 교양 프로젝트 수업에서 변화하는 시대의 학습 욕구인 디지털 리터러시의 운영사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삼고 있는 <신화와 놀이문화>는 1학기 대상 교과로 한국의 민간신화 전반과 한국의 고유한 놀이 세계를 접목하는 과정이다. <신화와 여성문화>는 2학기 대상 교과로 한국의 민간신화와 <삼국유사> 속 여성을 주 대상으로 하면서 이와 비슷한 동서양의 여성 신화를 상호 비교하여 신화 속 여성의 특징을 알아보는 것으로부터 시작했다. 본 연구는 3년 동안 진행한 교과 중 학생들에게서 꾸준히 프로젝트 테마가 되고 있는 한국 신화 속 꽃 상상력을 통해 학생들이 자연과 인간의 상호소통성을 어떻게 디지털로 이해하면서 아이디어를 개발하는지에 대해 세 가지 측면에서 논의했다. 첫째, 생명을 부활시키는 다양한 도구로써 꽃에 대한 메타적 인지를 살펴보았다. 한국 민간신화에 등장하는 다양한 꽃의 상상력을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창의적으로 기획하고 학습연계 활동으로 이어가는 메타적 인지과정을 살폈다. 둘째, 꽃의 명명법과 인물 구성의 놀이적 상상력에 대한 창의적 활동을 살폈다. 한국 신화 속 꽃은 고유한 추상명사가 아니라 보통명사로 지칭된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의 창의적인 놀이 상상력이 어떻게 발휘되는지 살펴보았다. 셋째, 현대적 문제의 리믹스 창의적 표현과 협업 가능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신화는 현대적 문제를 재구성할 수 있을 때 그 존재적 의미가 있다. 이를 위해 학생들이 어떠한 리믹스 창의적 표현을 강구하며 어떻게 협업을 이루는지 살펴보았다. 본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디지털 리터러시 활용의 단편적인 사례를 살펴 보았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ase of the operation of digital literacy in the class of liberal arts projects related to mythology conducted between 2020 and 2022. The class of “Myth and Play Culture,” is a course for the first semester that combines the entire Korean folk mythology with Korea’s unique play world. “Myth and Women’s Culture” started with recognizing women in myths by comparing similar Eastern and Western female myths with Korean folk myths and women in < Samgukyusa >. This study discussed three aspects of how students develop ideas while digitally understanding nature and human interaction through the flower imagination of Korean mythology, which has been steadily a project theme among students for three years. First, we looked at the meta-cognition of flowers as various tools for reviving life. We looked at the meta-cognitiv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imagination of various flowers appearing in Korean folk myths, thinking critically, planning creatively, and leading to learning-linked activities. Second, we looked at the creative activities of the naming of flowers and the ludic imagination of character composition. Flowers in Korean mythology are not unique abstract nouns, but are referred to as common nouns. In this process, we looked at how students’ creative ludic imagination was exercised. Third, we looked at the remix creative expression of modern problems and the possibility of collaboration. Myth has its meaning when modern problems can be reconstructed. Through these project classes, we looked at fragmentary examples of the use of digital literacy.

1. 들어가며
2. 생명을 부활시키는 다양한 도구로써 꽃에 대한 메타적 인지
3. 꽃의 명명법과 인물 구성의 놀이적 상상력
4. 현대적 문제의 리믹스 창의적 표현과 협업가능성
5. 나오며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