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6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위협집단 보도와 온정주의 보도가 국내 언론의 외국인 이주민에 대한 지배적인 보도 방식이라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온정주의 보도 방식의 효과에 대해 검증했다. 위협집단 보도 및 통제집단과 비교해 온정주의 보도가 내국인들의 외국인 이주민에 대한 위협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특히 이 과정에서 메시지 해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고정관념과 경제 상황 인식이 위협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온정주의 보도가 만들어내는 위협 지각은 위협집단 보도와 비교해 낮았으며, 통제집단과 비교해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또한 외국인 이주민에 대한 고정관념과 국내 경제 상황 인식은 온정주의 보도가 위협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고정관념과 경제 상황 인식이 동시에 영향을 미쳐 온정주의 보도의 해석을 바꾸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On the basis of literature that threat message and benevolent message were widely used in news reports when describing immigrant foreigners in Korea,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benevolent message.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s of benevolent message, compared to threat message or control group, on the perceived threat toward immigrant foreigners. Also, it was tested whether the group stereotypes and perception of national economic moderates the benevolent message’s effects. The result showed that the benevolent message could not significantly increase the perceived threat toward immigrant foreigners. Also,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of stereotypes, or perception of national economic. However, a 3-way interaction effect between benevolent message, stereotypes, and perception of national economic on perceived threat toward immigrant foreigners was found. The implication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목차

1. 들어가며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37)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2-070-000056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