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7.4.206
18.217.4.206
close menu
KCI 등재
몽촌토성 북문지 일원 삼국시대 문화층의 최신 조사 성과
Latest Results of the Research Excavation at the Northern Gate Area of Mongchontoseong Fortification and an Examination of its Significance
이혁희 ( Lee Hyeokhee )
고고학 19권 3호 65-91(27pages)
DOI 10.46760/jbgogo.2020.19.3.65
UCI I410-ECN-0102-2023-900-001021015

한성백제박물관은 개관 이듬해인 2013년 11월부터 서울 몽촌토성(사적 제297호)에 대한 연차발굴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그 대상은 1980년대 조사에서 소수의 Pit조사 이외에는 미조사구역이나 다름없었던 북문지 일원에 해당한다. 본고에서는 몽촌토성 북문지 일원 발굴조사의 최신 조사 성과를 소개하고 그 의미를 조명하였다. 몽촌토성 조사 성과에서 가장 주목도가 높은 삼국시대 문화층은 상층의 고구려 생활면과 하층의 백제 생활면으로 구분할 수 있다. 양 층에서는 복합적인 유구 양상이 확인되었으며, 이에 대해 구획식 포장도로, 대형 목곽집수지, 생활유구 집중구역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구획식 포장도로는 백제 초축도로 단계, 백제 개축도로 단계, 고구려 도로 단계로 나눌 수 있다. 백제 초축도로는 Pit조사를 통해 1개의 도로가 확인된 상태이다. 초축도로 폐기 이후 조성된 백제 개축도로 단계에는 ‘回’자형교차로를 중심으로 여러 방향으로 분기해 나가는 남북대로, 회곽도, 북서향도로, 동서도로가 조성되었다. 도로는 격자상이며 도로에 의해 구획된 공간은 집수지로 추정되는 대형 유구와 생활유구 집중구역으로 구분된다. 각 유구는 도로와 중복되지 않은 정형성을 띠고 있으므로 사전에 설계된 도시계획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고구려 도로는 475년 백제 한성 함락 이후에 조성되었다. 기존 백제 개축도로의 선형을 거의 그대로 유지한 채 보수되거나 증축된 모습이다. 목곽집수지는 ‘回’자형교차로 내측에 위치하며 규모는 14×14m에 달한다. 벽체는 백제 개축도로 단계의 ‘回’자형교차로 내측으로 판을 대고 성토다짐하였으며 벽체 내부에서는 고구려 토기가 출토되었다. 목곽집수지에 대한 내부조사 과정에서 백제토기, 고구려토기, 건축부재, 각종 유구물이 다수 출토되었다. 목곽집수지는 일정 기간 활용된 뒤 인위적으로 폐기되었으며, 그 상부에 성토대지 조성공사가 이루어짐으로써 광장으로 변화한다. 목곽집수지의 조성과 폐기, 그리고 광장으로 변화 모두 고구려 점유기에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생활유구 집중구역은 ‘回’자형교차로 북서부-회곽도-북서향도로가 감싸는 공간에 해당한다. 생활유구 집중구역은 백제 생활면과 고구려 생활면이 뚜렷하게 구분되고 있다. 이 공간은 성토대지 공사가 선행된 뒤 이를 굴착하며 주거지, 벽주건물지, 굴립주건물지, 초석건물지, 주혈군, 수혈 등이 조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몽촌토성 북문지 일원 삼국시대 문화층의 최신 조사성과를 통해 백제 한성기의 왕성으로서 개발하기 위해 도로와 각종 시설을 조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475년 한성 함락 이후 고구려에 의해 남방경략거점으로서 몽촌토성이 개발된 고고학적 증거의 확보라는 점에서 그 의미를 조명하였다. 몽촌토성 북문지 일원 발굴조사에서는 다종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이를 통해 백제 한성기의 문화 및 주변국과의 교류, 한성 함락 이후 고구려 점유기의 양상, 당시의 고환경 및 식생을 파악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소수이지만 백제 사비기 토기의 출토는 551∼553년 간 백제가 한성지역을 회복하였던 역사적 사실을 증명하는 자료로서 그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Seoul Baekje Museum has been conducting annual research excavations of Seoul Mongchontoseong Fortification (Historical Site No. 297) since November, 2013, the year after the museum’s opening. At Mongchontoseong Fortification, the cultural layer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which are attracting the greatest attention, may be divided into that of Goguryeo, and that of Baekje. A diverse range of archaeological remains were identified from the both layers, and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division of the cellular pavement, the large-scale wooden collecting basin, and the dwelling site. The recent survey results from the cultural layer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at the northern gate area of Mongchontoseong Fortification reveal that roads and facilities were constructed in order to develop the site into the royal fortification in the Hanseong Baekje period. Furthermore, the site’s significance was enhanced by research results on material evidence which revealed that Mongchontoseong Fortification was developed as a base by Goguryeo for its southward conquest strategies after Baekje’s surrender of Hanseong in 475. A variety of artifacts were excavated through the research conducted at the northern gate area of Mongchontoseong Fortification. They allow us to understand the culture and nature of exchange with neighboring nations during the Hanseong Period, and the paleo-environment and vegetation of the Goguryeo-occupied period following the surrender of Hanseong. In particular, the excavation of Sabi Baekje Period pottery from this site, albeit limited in number, is valuable historical evidence showing that Baekje had recaptured the Hanseong area between 551∼553.

Ⅰ. 머리말
Ⅱ. 조사현황과 층서
Ⅲ. 삼국시대 문화층의 고고학적 양상
Ⅳ. 조사 성과와 의미-맺음말을 대신하여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