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Home

한국 태권도의 올림픽 금메달 획득 실패 원인과 방안 탐색
A Study on the Causes and Solutions for Korean Taekwondo’s Failure to Win a Gold Medal in the Olympics

첫 페이지 보기
  • 발행기관
    한국스포츠학회 바로가기
  • 간행물
    한국스포츠학회지 바로가기
  • 통권
    제22권 제1호 (2024.03)바로가기
  • 페이지
    pp.547-556
  • 저자
    김규리, 김한별
  • 언어
    한국어(KOR)
  • URL
    https://www.earticle.net/Article/A444507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the causes for Korean Taekwondo’s failure in winning a gold medal in the Olympics, and also to seek for the practical solution measures.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by selecting six coaches and athletes with experiences in entering the Olympics as research participants through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and the conclusions drawn based on their experiential grounds are as follows. In the causes for Korea’s failure in winning a gold medal, first, it was lacking in overseas exchange and information for rookie athletes. Second, it was shown as the upward standardization of athletic performance. Third, the method of operating the national team was raised as a problem. As the measures for solving those problems, first, it would be necessary to exchange the training methods with overseas teams. Second, the training environment for developing creativity should be established. Third, the systematic long/short-term investment for both athletes and coaches is required. Based on the measures presented by this study, the follow-up researches should carry out the measures or develop more detailed guideline that can be applied in the field, which could be led to retrieving honor of the past.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올림픽 금메달 획득 실패 원인 도출 및 실천적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의도적 표집 방법으로 올림픽 출전 경험이 있는 지도자와 선수 6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고, 이들의 경험적 근거를 기반으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한국의 금메달 획득 실패 원인은 첫째, 해외 교류 및 신예 선수에 대한 정보력 부족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기력 상향 평준화로 나타났다. 셋째, 국가대표 선수단 운영방식에 대한 문제 제기로 나타났 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첫째, 해외선수단 훈련방법 교류가 필요하다. 둘째, 창의력 개발을 위한 훈련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셋째, 선수 및 지도자를 위한 체계적인 장‧단기 투자가 요구된다. 이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안의 시행 또는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세부적인 지침서 등으로 개발되어 과거의 명예를 되찾을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1. 연구참여자
2. 연구자의 준비
3. 조사도구
4. 자료 분석
5. 자료의 진실성
Ⅲ. 연구결과 및 논의
1. 금메달 획득 실패 원인
2. 금메달 획득을 위한 방안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김규리 [ Kim, Gyou-ri | 한국체육대학교, 박사과정 ]
  • 김한별 [ Kim, Han-Byul | 한국체육대학교, 교수 ]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한국스포츠학회 [Korea Sport Society]
  • 설립연도
    2003
  • 분야
    예술체육>체육
  • 소개
    현대사회에 있어서 신체활동 연구의 주요 탐구과제는 ‘신체활동을 통한 교육’으로부터 ‘인간의 기본적인 움직임’을 목표로 하는 스포츠적인 움직임을 중심으로 한 생명 활동의 개념으로 급속히 변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본학회는 ‘체육’적인 요소에서 ‘스포츠’적인 요소를 중심으로 한 학문적 정체성을 견고히 하고, 정기적인 학술지 발간과 학술활동을 통해 한국스포츠츠 문화의 발전과 학문적인 발전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간행물

  • 간행물명
    한국스포츠학회지 [The Korea Journal of Sport]
  • 간기
    계간
  • pISSN
    1738-3250
  • 수록기간
    2003~2024
  • 등재여부
    KCI 등재
  • 십진분류
    KDC 692 DDC 796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한국스포츠학회지 제22권 제1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페이지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