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Home

초등학생의 건강 체력과 수면 및 스트레스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Sleep, and Str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첫 페이지 보기
  • 발행기관
    한국스포츠학회 바로가기
  • 간행물
    한국스포츠학회지 바로가기
  • 통권
    제21권 제4호 (2023.12)바로가기
  • 페이지
    pp.417-428
  • 저자
    김이체, 박수연
  • 언어
    한국어(KOR)
  • URL
    https://www.earticle.net/Article/A439892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effect between physical fitness, sleep, and str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195 fif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participated and examined using a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PAPS), Pittsburgh’s sleep quality questionnaire(PSQI) and korean children’s daily stress questionnaire. The independent sample-test was us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health related fitness, sleep, and stress depending on gender, the correlation between health related fitness, sleep, and stress were analyzed using simple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correlation effects among th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 related fitness, sleep and stress level based on gender. Health related fitness and sleep were correlated, health related fitness and stress were not, and sleep and stress were correlated. Health related fitnes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leep, of which cardiopulmonary endurance has been affected(p<.01). Health related fitne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tress. Stress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leep(p<.001). Based on the results, health related fitness and stress manag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very important to improve sleep which has a vital factor for growing.
한국어
본 연구는 초등학생 건강 체력과 수면 및 스트레스 정도를 분석하고 이들 간에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초등학생 5학년 195명을 대상으로 학생 건강 체력 평가(PAPS)를 시행하였고 수면은 피츠버그 수면의 질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스트레스는 한국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설문지를 이용해 자기 평가 기입법으로 설문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 로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자료해석을 위한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성별에 따른 건강 체력 과 수면, 스트레스의 차이를 밝히기 위해 독립 표본 t-test를 사용하였고, 체력과 수면, 체력과 스트레스, 수면과 스트레스 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건강 체력과 수면 및 스트레스가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건강 체력과 수면, 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건강 체력과 수면은 상관관계가 있었고, 건강 체력과 스트레스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수면과 스트레스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건강 체력은 수면에 유의한 영향이 있으며, 그 중 심폐지구력이 영향을 미쳤 다. 넷째, 건강 체력은 스트레스에 영향이 없었다. 다섯째, 스트레스는 수면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고, 스트레스 또한 수면 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초등학생의 건강 체력과 수면은 유의한 상관도와 영향력이 있으며 스트레스와는 상관도와 영향력이 없었고 수면과 스트레스는 유의한 상관도와 영향력이 있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자
2. 조사도구
3. 자료처리
Ⅲ. 결과
1. 성별에 따른 건강체력과 수면, 스트레스의 차이
2. 건강 체력과 수면 및 스트레스의 상관관계
3. 건강 체력이 수면에 미치는 영향
4. 건강 체력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5. 스트레스가 수면에 미치는 영향
Ⅳ. 논의
1. 건강 체력과 수면
2. 건강 체력과 스트레스
3. 스트레스와 수면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김이체 [ Kim, I-Che | 용인대학교, 석사 ]
  • 박수연 [ Park, Soo-Yeon | 용인대학교, 부교수 ]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한국스포츠학회 [Korea Sport Society]
  • 설립연도
    2003
  • 분야
    예술체육>체육
  • 소개
    현대사회에 있어서 신체활동 연구의 주요 탐구과제는 ‘신체활동을 통한 교육’으로부터 ‘인간의 기본적인 움직임’을 목표로 하는 스포츠적인 움직임을 중심으로 한 생명 활동의 개념으로 급속히 변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본학회는 ‘체육’적인 요소에서 ‘스포츠’적인 요소를 중심으로 한 학문적 정체성을 견고히 하고, 정기적인 학술지 발간과 학술활동을 통해 한국스포츠츠 문화의 발전과 학문적인 발전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간행물

  • 간행물명
    한국스포츠학회지 [The Korea Journal of Sport]
  • 간기
    계간
  • pISSN
    1738-3250
  • 수록기간
    2003~2024
  • 등재여부
    KCI 등재
  • 십진분류
    KDC 692 DDC 796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한국스포츠학회지 제21권 제4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페이지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