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Home

태권도 자유 품새 회전발차기의 채점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lan for Score of Spining Kicks the Freestyle Poomsae in Taekwondo

첫 페이지 보기
  • 발행기관
    한국스포츠학회 바로가기
  • 간행물
    한국스포츠학회지 바로가기
  • 통권
    제18권 제3호 (2020.09)바로가기
  • 페이지
    pp.941-949
  • 저자
    방인주
  • 언어
    한국어(KOR)
  • URL
    https://www.earticle.net/Article/A382037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measures to score the spinning kicks of freestyle poomsae in taekwondo. For this, in-depth interviews, which is a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seven people including freestyle poomsae coaches, national taekwondo athletes, and freestyle poomsae referee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Differential score system should be introduced from 540 degree kick to 1080 degree kick in rotation angle difficulty score. Second, when it comes to the scores for the height of kicks, the height of the belt of a taekwondo uniform should not be considered for additional points, since it cannot be used as a criterion. Kicks above the pit of the stomach deserve additional 2 points in the angle score. Third, regarding the scores for mid-air performance, points for the horizontal angle of the knee and foot before a kick and the movement of the upper body in roundhouse kicks or hook kicks should be provided. In addition, mid-air performance points should be awarded for the position of the knee when jumping for a spinning kick and for kicks when spin is not enough. Fourth, for landing and assessment, kicks below the belt are not allowed and should be given, shaking of the upper body when landing, moving one step after landing, moving two steps, moving more than two steps, and falling or touching the ground with a hand each deduction. Increasing the completeness of scoring in this way will ensure fair competitions.
한국어
이 연구는 태권도 자유 품새 회전발차기의 채점방안에 관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자유 품새 국가대표를 배출한 지도자와 국가대표 선수, 그리고 전국대회에서 자유 품새 심판 경험이 있는 심판으로 총 7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방법인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회전각 난도점수에서 360도는 0점, 540도는 0.6점, 720도는 0.9점, 900도는 1.3점, 1080도는 2.0점을 부여하여 차등점수제를 도입하여 난도가 올라 갈수록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도록 제정되어야 한다. 둘째, 발차기 높이점수에서 태권도 도복의 띠 높이는 난도로 인정할 수 없기 때문에 추가점수를 부여하지 않고, 명치이상 발차기는 회전각 점수에서 0.2점을 추가로 부여받아야 하고, 인중이 상 발차기는 회전각 점수에서 0.4점을 더 받아야 한다. 셋째, 공중수행능력 점수에서 발차기전 무릎과 발의 수평각에 대한 감점사항과 발차기전 무릎을 접은 각도에 대한 감점사항이 마련되어야 하고, 돌려차기나 뒤 후려차기에서 상체의 움직임 즉 돌려차기 시 어깨는 반대로 열어야 하며, 후리기 시 어깨를 닫아야하는 사항에 대한 공중수행능력점수가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착지 및 감정사항에서는 띠 이하의 발차기는 인정할 수 없기 때문에 감점되어야 하고, 착지 시 안전성에서 상체의 흔들림, 착지 후 한발 움직임, 두발 움직임, 두발 이상, 넘어짐이나 손 짚는 행위에 각각 감점사항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모든 가점과 감점을 수치화 하여야 하며, 회전발차기의 채점방안을 개선하기 위하여 노력한다면 태권도 자유 품새가 선수 및 지도자 그리고 심판진의 공정하고 성숙한 경기문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2. 조사도구
3. 자료처리
4. 연구윤리
Ⅲ. 연구결과 및 논의
1. 회전각 난이도점수 지정
2. 발차기 높이점수 지정
3. 공중수행능력점수 지정
4. 착지 및 감점점수 지정
5. 태권도 자유 품새 채점기준 방안제시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

  • 방인주 [ Bang In-Ju | 한국체육대학교, 강사 ]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한국스포츠학회 [Korea Sport Society]
  • 설립연도
    2003
  • 분야
    예술체육>체육
  • 소개
    현대사회에 있어서 신체활동 연구의 주요 탐구과제는 ‘신체활동을 통한 교육’으로부터 ‘인간의 기본적인 움직임’을 목표로 하는 스포츠적인 움직임을 중심으로 한 생명 활동의 개념으로 급속히 변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본학회는 ‘체육’적인 요소에서 ‘스포츠’적인 요소를 중심으로 한 학문적 정체성을 견고히 하고, 정기적인 학술지 발간과 학술활동을 통해 한국스포츠츠 문화의 발전과 학문적인 발전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간행물

  • 간행물명
    한국스포츠학회지 [The Korea Journal of Sport]
  • 간기
    계간
  • pISSN
    1738-3250
  • 수록기간
    2003~2024
  • 등재여부
    KCI 등재
  • 십진분류
    KDC 692 DDC 796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한국스포츠학회지 제18권 제3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페이지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