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5%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34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2018년 시행된 주 52시간 근로제도의 도입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법정근로시간의 단축 이후 예상되는 임금 수준의 상승은 대체효과와 규모효과를 동시에 야기하기 때문에 제도변화에 따른 고용의 변화 방향은 이론적으로 모호하다. 이에 본 연구는 2016~2020년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를 활용하여 주 52시간 근로제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법정근로시간의 단축이 2018년 7월 300인 이상 규모의 사업장에 우선적으로 시행되었음을 고려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 제도 시행 전 52시간 초과 근로자의 비중이 높은 사업체를 중심으로 실제 근로시간이 감소하고, 시간당 임금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근로시간 감소를 통해 근로자의 삶의 질을 높이려는 제도의 도입목적과 일치하는 방향을 보이고 있어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반면 주 52시간 근무제의 영향이 보다 집중되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사업체를 중심으로 고용 수준 및 정규직 근로자의 수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향후 영세업체에 순차적으로 적용될 근로시간 단축이 고용에 미칠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업종별 특수성을 감안한 보완책의 활용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labor market impacts of introducing the 52-hour workweek policy. Since the expected rise in the wage level after the reduction of statutory working hours causes both a substitution and a scale effect, the direction of employment change following the institutional change is theoretically ambiguous. Therefore, this study empirically estimates the effect of the 52-hour workweek policy by analyzing the 2016~2020 work status survey by employment type. Considering that the reduction of statutory working hours was first implemented in workplaces with 300 or more employees in July 2018, we choose to employ the difference-in-difference method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effects of the introduction of the 52-hour workweek policy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estimating an alternative model that includes the proportion of employees who worked over 52-hours per week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52-hour workweek policy, we find that the actual working hours decreased, with the hourly wage increasing, mainly in workplaces with a high proportion of employees working over 52-hours. However,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mployment level and the number of regular workers decreased mainly in businesses that are expected to be more intensively affected by the 52-hour workweek policy. This implies that in order to minimize the adverse employment effects of the 52-hour workweek policy, it is necessary to adopt complementary measur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specificity of each industry.

목차

Ⅰ. 서론
Ⅱ. 주 52시간 근로제도의 도입 배경
Ⅲ. 선행연구 검토
Ⅳ. 자료 및 분석방법
Ⅴ. 실증분석 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