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3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고용탄력성을 통하여 고용 없는 성장의 실태를 분석하고, 고용 창출 역량확충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1989∼2016년 16개 광역시․도 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고용탄력성을 추정하고, 산업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추정모형은 패널 ARDL 공적분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시변(time varying) 계수 추정 기법을 적용해 고용없는 성장 문제가 일시적인 현상인지 구조적인 현상인지를 판단하여 보았다. 외환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의 경제구조 변화가 고용탄력성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충북을 대상으로 지역별 차이에 대한 사례 연구도 진행하였다.
추정 결과, 서비스업이 제조업보다 장단기 고용탄력성 모두 훨씬 더 높았다. 장기 고용탄력성은 서비스업이 0.5970, 제조업이 0.3838이며, 단기 고용탄력성은 각각 0.5821, 0.3742로 추정되었다. 고용 없는 성장은 1990년대 중후반 제조업과 2000년대 초중반 전체 산업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났던 문제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일자리가 성장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등 고용탄력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저성장 시대 성장전략을 통한 일자리 창출이 여전히 중요한 과제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status of jobless growth based on employment elasticity and derives policy implications for expanding job creation capacity. Employment elasticity and its differences between industries were estimated with panel ARDL cointegration model applied to 16 metropolitan data from 1989 to 2016. The paper investigates whether the jobless growth problem is temporary or structural by applying time varying coefficients estimation. The study takes into account the effects of structural breaks in the aftermath of the Asian financial crisis an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n employment elasticity.
Estimates show that service sector has far higher employment elasticity than manufacturing sector. The long-term employment elasticity was estimated to be 0.5970 for the service sector and 0.3838 for the manufacturing sector. Jobless growth is found to be a temporary problem in the manufacturing sector in the mid-to-late 1990s and in the entire industries in the early to mid-2000s. In recent years, however, employment elasticity has been rising, suggesting that job creation through growth strategies is still important in the era of low growth.

목차

Ⅰ. 서론
Ⅱ. 호탄력성의 추정
Ⅲ. 점탄력성의 추정
Ⅳ. 결론 : 요약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3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320-0005077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