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3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서울시 25개 자치구의 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사회적 자본이 범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사회적 자본의 다차원적이고 다면적인 성격을 대리하는 6개 변수(신뢰, 기부, 헌혈, 공공부패, 자원봉사 활동, 민족 이질성)가 심각한 사회비용을 유발하는 강력범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관측되지 않는 지역별 이질성을 고정효과모형으로 통제하였고, 범죄자들의 지역 간 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공간적 상관관계(spatial correlation)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간시차모형(spatial lag model)을 고려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 자본 형성과 연관되어 있다고 알려진 요소 중 최소 3개의 변수(기부, 공공부패, 민족 이질성)가 서울시 강력범죄율 증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사회에서는 기부활동 증가, 공공부패 감소 및 외국인의 지역공동체 내에서 결속력 강화 등으로 나타나는 사회적 자본의 증가가 범죄활동을 억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정책함의를 얻을 수 있다.

Using a panel of 25 municipalities in Seoul,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crime. We employ 6 proxy variables of social capital―generalized trust, charity donation, blood donation, public corruption, voluntary participation, and ethnic diversity―and study the impact of these variables on socially costly felony crimes. We use within-municipality model to account for municipality unobserved heterogeneity, and also estimate the spatial lag model to address the spatial correlation problem associated with the mobility across the borders of different municipalities. We find that charity donation, public corruption, and ethnic diversity have a robust effect on the level of felony crimes.

목차

Ⅰ. 서론
Ⅱ. 사회적 자본과 범죄에 관한 기존 논의
Ⅲ. 자료 수집
Ⅳ. 분석 방법 및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7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320-000507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