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8.163.28
18.218.163.28
close menu
조선족 만담ㆍ재담 고찰
A Consideration of Korean-Chinese Mandam(漫談) · Jaedam(才談)
송미숙 ( Song Mi-sook )
DOI 10.46506/jica.2020.1.1.039
UCI I410-ECN-0102-2021-600-001104894

만담(漫談)ㆍ재담(才談)은 우습고 재미있게 세상과 인정을 비판(批判)하고 풍자(諷刺)하는 이야기문화이다. 중국의 상성(相声), 일본의 라쿠고(落語)ㆍ만자이(漫才)와 그리고 우리 만담ㆍ재담이 유사한데 모두 이야기를 통한 ‘웃음’을 지향한다. 본고는 중국 길림성 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만담ㆍ재담을 고찰한 것이다. 한국에서는 쇠퇴의 길을 걷고 있는 만담ㆍ재담이 중국 조선족에게 어떻게 전승되었는지 조선족 ‘만담ㆍ재담’의 기원과 시대적 전승관계, 대표전승자를 알아보았고, 전승의 문제점, 향후 과제 등을 살펴보았다. 조선족의 ‘만담ㆍ재담’의 과제는 첫째, ‘만담, 재담’의 현실성 있는 대본이 필요한 바, 21세기 생활문화에 맞는 삶과 밀착된 스토리를 가진 작품을 창작하여야 한다. 둘째, ‘만담ㆍ재담’을 사승관계로 제도권에서 교육해야 한다. correspond 융·복합 예술이 발전하는 21세기 무대예술 트랜드와 부합되는 예술교육이 될 것이다. 셋째, <삼노인>과 같은 대표작품으로 규범을 만들어 조선족이 가지는 전통의 변별력을 부각시켜야 한다. 물론 원형 유지만을 중요하게 생각하여 애초에 예능원형만 보호하고 개선하거나 심화하지 못하는 우려를 범해서는 안 된다.

Mandam(漫談, comic talk) and Jaedam(才談, witty remark) correspond to the story culture, which criticizes(批判) and satirizes(諷刺) the world and human feelings humorously and entertainingly. Sangseong(相声) in China, Racugo(落語, one-person mandam)ㆍManjai(漫才, two-person mandam) in Japan, and our Mandam(漫談)ㆍJaedam(才談) are similar. All point to ‘laugh’ through a story. This study considered Mandam(漫談)ㆍJaedam(才談) of having been designated as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Jilin Province of China. It inquired into how Mandam(漫談) and Jaedam(才談), which are treading the path of decline in South Korea, were passed down to Korean-Chinese people, into the origin & the historic transmission relation of Korean-Chinese people's ‘Mandam (漫談)ㆍJaedam(才談),’ and into a representative transmitter, and looked at a transmission problem and a future task. As for a task of ‘Mandam(漫談)ㆍJaedam(才談)’ in Korean-Chinese people, first, there is a need to create a work that has a story close to life in line with the living culture in the 21st century because of requiring a realistic script of ‘Mandam(漫談)ㆍJaedam(才談).’ Second, ‘Mandam(漫談)ㆍJaedam(才談)’ must be educated with a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n the formal sector. It will be art education that is in accord with the 21C theatrical art trend in which the convergence·complex art is progressed. Third, there is a need to highlight discrimination of tradition that Korean-Chinese people have, through making norms using a typical work like < Samnoin(三老人) >. A concern should not be naturally committed that fails to develop or deepen with protecting just the original form of entertainment from the beginning by regarding only the preservation of original form as important.

Ⅰ. 서 론
Ⅱ. 조선족 만담·재담의 전승
Ⅲ. 조선족 만담·재담의 성과
Ⅳ. 조선족 만담·재담의 과제
Ⅴ. 결 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