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온라인 공간과의 연결을 통한 새로운 공부 방식인 스터디위드미 시청을 주목하였다. 기존의 미디어와 차별된 미디어 이용 특성에 따라, 같은 공간에서 함께 공부하고 있다고 느끼는 ‘공존감’을 학습지속을 이끌 수 있는 핵심변인으로 제시하였다. 공존감의 결정요인으로서 출연자에 대한 인식 차원의 ‘유사성’, ‘선망성’, 매체속성에 대한 인식 차원의 ‘동시성’, ‘환경친숙성’을 도출하여, 공존감에 미치는 관계를 확인하고, 공존감이 ‘학습시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설문은 고등학생을 포함한 17세부터 39세 이용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여 323명의 데이터를 얻었다. 연구 결과, 출연자에게 느끼는 유사성과 선망성, 그리고 동시성의 매체속성은 공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환경친숙성은 유의미한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공존감은 학습시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유사성, 선망성, 동시성과 학습시간 관계를 긍정적으로 매개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즉, 출연자에게 유사성, 선망성을 느낄수록,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동시간적으로 연결된 경우, 공존감이 지각되어 학습시간 증가를 이끌 수 있다고 밝혔다. 본 연구는 기존미디어 시청과 달리 연결성을 주목적으로 한 미디어 이용에서 공존감이 핵심변인임을 제시하고, 그 결정요인과 효과까지 검증했다는 점에서, 전 세계적인 공부문화로 확산되고 있는 스터디위드미 현상에 대한 학술적인 논의를 이끈 연구로서 의의를 찾는다.

This study focused on ‘Study with Me,’ a new study method by connecting with online space. ‘Co-presence’, the sense of studying together in the same place is presented as a key variable that can increase studying time based on media use characteristics that differ from existing media. We investigated what factors influence the formation of co-presence, and presented ‘similarity’ and ‘wishfulness’ as the dimension of perceptions about performers, and ‘simultaneity’ and ‘environmental familiarity’ as the dimension of perceptions about media attribute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users aged 17 to 39, including high school students, and data was obtained from 323 peopl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similarity and wishfulness felt by the performers, and the perceptions about media attributes of simultaneity had a positive effect on co-presence. However, environmental familiarity did not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 The co-pres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ying time, and therefore was found to be a variable that positive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imilarity, wishfulness, and simultaneity and studying tim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mpirically verified the effect of co-presence in the use of media with the main purpose of connectivity, unlike conventional media viewing and proposed a new theoretical discuss about the new phenomenon called Study with me spreading world-wildly scal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연구 방법론
4. 연구 결과
5. 논의
참고 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