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5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논문은 3·1운동기에 발행된 여러 간행물들을 지하신문이라 보는 학계의 기존 인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이 간행물들에 대한 역사적 재평가를 시도하였다. 이 간행물들을 지하신문이라고 평가하는 배경을 일제의 법적 절차를 밟지 않았다는 사실과 제한된 여건에서 급조되어 형식적으로 미비했다는 사실에 기인한다고 보았다. 이 중 두 번째 차원에 대해 매체사적 관점에서 재검토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스미스(A. Smith)가 제시한 서양 근대 신문의 초기 발전 4단계론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3·1운동기의 간행물 대부분이 사용한 등사도 인쇄술의 기본을 갖춘 것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신문의 발행 형식과 지면 편집, 내용, 배포 지역 및 수용자 등의 측면에서 다양한 편차를 보였지만 초창기 서구 근대 신문의 렐라치온에서 머큐리까지 형식적 요건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3·1 운동기의 간행물들은 근대 신문으로서의 요건을 갖추었기에 더 이상 ‘지하신문’이 아니라 ‘신문’으로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ttempted to reevaluate publications published during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by critically examining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the academic community that regarded these as underground newspapers. The background of evaluating these publications as underground newspapers was attributed to the fact which they did not take legal steps at that time and which they were urgently produced under restricted conditions, which made them incomplete in form. Particularly, this study seeks to reexamine the aspects of publications as print media in this period based on the framework of the four stages of the early development of Western modern newspapers suggested by Anthony Smith. According to the analysis, even though most publications were made of mimeograph, it can be evaluated as having qualifications as a newspaper. It was also found that the newspaper had various variations in terms of publication format, paper editing, contents, and distribution areas, but had de facto requirements ranging from Relation to Mercury in the early Western modern newspapers. Based on these results, the publications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period met the requirements of modern newspapers, so they should no longer be evaluated as “underground newspapers” but as “newspapers.”

목차

1. 문제의 제기
2. 관련 논의의 현황
3. 3·1운동기의 언론에 대한 역사인식: ‘지하신문’ 개념의 계보학
4. 3·1운동기 간행물의 매체적 성격
5. 맺음말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1-070-0014778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