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고용노동부의 2015, 2019 실태조사 및 한국노동연구원의 한국노동패널 8차와 20차 자료를 활용하여 사회적경제기업과 일반기업의 주관적 고용의 질 및 근로자의 전반적 직업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적경제기업 근로자의 주관적 고용의 질이 전반적으로 일반기업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경제기업의 세부유형 간에도 차이가 있으며 대체로 소셜벤처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기업유형에 따른 주관적 고용의 질 차이가 직업만족도에 차별적으로 미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적 경제기업은 주관적 고용의 질 가운데 직업/직무의 질을 통해 일반기업 대비 더 큰 만족을 얻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일반기업은 근로조건의 질에서 더 큰 만족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경제기업 세부유형 간의 비교에서는 소셜벤처 근로자가 직업/직무의 질에서 더 큰 만족을 얻는 데 비해 근로조건의 질을 통해 얻은 만족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경제기업과 일반기업 간의 고용의 질 그리고 직업만족도상의 일반적인 차이를 확인해보는 경험적 연구로서의 함의를 가지며, 사회적경제기업이 가지는 독특한 질적 특성을 보여준다.

Using the 2015 and 2019 factual survey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8th and 20th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 in subjective employment quality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social economy enterprises and general enterprises. Further, we examine how the subjective employment quality differently affects job satisfaction between social economy enterprises and general enterpris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subjective employment quality of social economy enterprises was generally higher than that of general enterprises. In between social economy enterprises, social ventures were highest. Next, Social economy enterprises obtain more job satisfaction through the quality of job duties than general enterprises. On the other hand, general enterprises achieved more job satisfaction through the quality of working conditions. A comparison within social economy enterprises showed that social venture workers obtain more job satisfaction through the quality of occupation duties than other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 of these differences for understanding the uniqu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social economy enterprises.

목차

1. 머리말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및 제언
도움 받은 글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