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한국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개발비 투자와 인력구조 특성이 연구개발 성과에 미친 영향을 종단적으로 살펴보았다. 무엇보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연구분야의 탐색 및 확대, 외부 지식의 유입 등에 주요하게 기여하는 흡수역량으로서의 인력구조 특성에 주목하였다. 이는 출연연 연구개발의 실질적 경쟁자원이 결국 연구개발비 확보와 더불어 개별 출연연에 소속된 연구자들의 역량에 기인할 수밖에 없기에, 출연연 연구자의 인력구조 특성이 연구개발 성과 도출에 직간접의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가정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분야 출연연의 연구개발 투자와 인력구조 특성이 연구개발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개별적으로 확인하고, 이어 출연연의 인력구조 특성이 연구개발 투자와 연구개발 성과에 미치는 상화작용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출연연의 전체 인력구조에서 연구자의 비중과 정규직 연구자의 비중이 높을수록, 그리고 여성 연구자의 비중이 커질 수록 연구개발비 투자와 연구개발 성과의 관계가 긍정적으로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조직 전문성의 관점에서 박사학위를 가진 연구자의 비중 증가도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국가 연구개발사업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는 출연연 인력구조의 변화방향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This study used a resource-based view to analys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position on the R&D perform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GFRIs). We assumed that the composition of each GFRI would eventually be regarded as absorptive capacity and act as a interaction effect variable between R&D investment and performance. We used a panel generalized least squares (GLS) model with fixed effects to analyse panel data from 115 Korean GFRIs between 2011 and 2015. Our findings show that R&D investment of GFRIs has a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We also analysed how organizational composition can interact the effect of R&D investment on performance. The findings provide evidence that organizational composition plays a moderating role between R&D investment and performance.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policy implications, its limitations, and also highligh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framework and hypotheses development
Ⅲ. Research Methods
Ⅳ. Results
Ⅴ. Conclusions and Discussion
[Reference]
초록

참고문헌 (58)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