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An Empirical Analysis Focusing on Renewable Energy Policy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하나의 정책 범주 내에 포함되는 복수의 유사 정책들에 대한 사람들의 선호를 분석할 수 있는 통합적인 접근법을 제시하고 이를 실증분석에 적용한다. 많은 경우, 특정부문의 포괄적인 정책 기조를 결정하기 위해선 정책 범주에 대한 사람들의 선호 구조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개별 정책들에 대한 다양한 선택 실험 자료들을 통합한 후 유형 별로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분류된 자료는 이산선택 모형의 일종인 다변량 프로빗 모형을 통해 분석한다. 실증 분석은 전력, 수송, 난방 분야 내의 대표적인 신재생에너지 정책인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제도(RPS), 신재생연료 혼합의무화 제도(RFS), 신재생열에너지 공급의무화 제도(RHO)에 대해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응답자들은 전반적으로 에너지 가격 상승이 적은 정책을 선호하며 따라서 에너지 가격 상승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대한 사람들의 평균적인 선호도는 RHO 도입 방식에 따라 부분적으로 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 분석의 대상인 세 가지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대한 응답자의 지식수준과 환경친화적인 정책 유형 간에는 정의 관계에 있는 반면, 응답자의 환경 보호에 대한 태도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재생에너지 정책 도입에 따른 에너지 가격 상승에 대한 사회적 저항을 완화시키려면, 포괄적인 환경 보호에 대한 홍보보다는 해당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개별 정책들의 상위 개념인 정책 범주에 대한 사람들의 선호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자료 통합 및 분류법은 공통된 속성을 공유하는 어떠한 정책군 또는 제품군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This study suggests an integrated approach to simultaneously analyze public preferences for multiple policies in a policy category. It is often necessary to understand public preference structure for a certain policy category in order to design overall policy direction. To achieve this, a data classification method is developed to classify various policy alternatives. The multivariate probit model is used to analyze these classified data. Empirical analyses are conducted for three renewable energy policies: the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Renewable Fuel Standard, and Renewable Heat Obligations. The selected policies represent a strong regulatory component and serve as quantitative policies in the electric power, transport, and heating sectors,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 that the public is sensitive to increased energy prices in general, because they assign great importance to the price attribute. Moreover, the public’s average preferences for renewable energy policies can change according to the type of RHO. While the public’s level of knowledge about renewable energy policie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choice of eco-friendly policies, their attitude toward environmental protection has no bearing on the same. Thus, in order to ease public resistance incurred by possible increases in energy prices, governments should map out efficient strategies to improve the public’s knowledge of renewable energy policies. In conclusion, the proposed methodology in this study allows one to analyze public preferences for a superordinate policy category simultaneously. The framework of this study can be generally applied to any public policy. Notably, the proposed integrated data classification method can be applied to any category of policies/ products having common attributes.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050-003546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