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에서는 클링커 조성에 따른 알루미나 시멘트의 내구성을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의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알루미나 시멘트의 클링커 조성은 리트벨트 방법을 이용한 X선 회절 정량 분석 통해 결정하였다. 강도 변화 추이를 확인하기 위해 배합 직후 정해진 시간 간격에 따라 모르타르의 관입저항 값을 통해 응결시간을 산정하였으며, 25 ± 2 °C 환경의 항온항습챔버에서 양생시킨 모르타르 시편의 압축강도를 1~91일간 측정하였다. 시편의 부식저항성 평가는 확산 셀 시험을 통한 유효확산계수와 공극구조, 염소이온 고정화 시험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시멘트 내 CA 클링커의 함량이 높을수록 응결시간은 빨라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강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Union 50의 최대압축강도는 다른 종류와 비교했을 때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나 상변화로 인한 지속적인 강도감소를 동반하였다. 그러나 염소이온 침투 속도 평가에서 Union 50이 가장 낮은 유효확산계수 값을 보였는데, 이는 상변화 이후 낮은 공극연결도가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durability of high alumina cement (HAC) with different composition of clinkers, in terms of resistance of chloride transport, was evaluated. The composition of clinkers in HAC were determined by quantitative X-ray analysis (Q-XRD) using Rietveld method. For a development of the strength, the penetration resistance of fresh mortar was immediately measured after mixing at a given time interval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mortars cured in a wet chamber at 25±2 °C was measured at 1-91 days. To assess the risk of corrosion of steel in specimen, the diffusion cell test was performed and simultaneously a further experimentation including an examination of the pore structure, chloride binding was carried out. As a results, it was found that an increase in CA clinker content resulted in an increase in the setting time, which affected the development of the strength; maximum strength for Union 50 was much higher, and then continuously reduced until 91 days due to conversion. For the rate of chloride transport, however, the lower effective coefficient of diffusion was obtained in Union 50, arising from poor pore connectivity in the cement matrix after conversion process.

목차

ABSTRACT
1. 서론
2. 실험 계획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References
요약

참고문헌 (5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