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24 Feb;63(1):76-82. Korean.
Published online Feb 28, 2024.
Copyright © 2024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Original Article
환청이 있는 조현병 환자에서 백질 미세구조 변이: 확산텐서영상 연구
성명제,1,2 정진아,1 송기원,1 정탁종,3 이해국4
White Matter Microstructure Alterations in Schizophrenia With Auditory Verbal Hallucination: Diffusion Tensor Imaging Study
MyungJe Sung, MD,1,2 Jina Jung, PhD,1 KiWon Song, BS,1 Takjong Jung, BS,3 and Hae Kook Lee, MD, PhD4
    • 1국립법무병원 법정신의학연구소
    • 2가톨릭대학원
    • 3국립법무병원 영상의학실
    • 4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1Institute Forensic Psychiatry Research, National Forensic Hospital, Gongju, Korea.
    • 2Catholic Graduate School, Seoul, Korea.
    • 3Department of Radiology, National Forensic Hospital, Gongju, Korea.
    • 4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Uijeongbu St. Mary’s Hospital, Uijeongbu, Korea.
Received November 20, 2023; Revised December 11, 2023; Accepted December 22, 2023.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Objectives

To compare the white matter microstructure alterations in schizophrenia with auditory verbal hallucinations (AVHs) with normal persons using diffusion tensor imaging.

Methods

Thirty-five schizophrenia patients with AVHs and 33 normal control persons were recruited from the National Forensic Hospital in Korea. The fractional anisotropy (FA) values of arcuate fasciculus (AF), Broca’s area, and Wernicke’s area were estimated from the diffusion tensor imaging data of each subject using the Johns Hopkins University-white matter tractography atlas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white matter integrity between schizophrenia patients with AVH and normal persons.

Results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 group, the FA values of AF (t=4.349, p<0.001) were higher in the normal control group.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roca’s area and Wernicke’s area.

Conclusion

Microstructural changes of AF are certainly involved in schizophrenia patients with AVHs.

Keywords
Auditory verbal hallucination; Schizophrenia; Arcuate fasciculus; DTI
환청; 조현병; 궁상다발; 확산텐서영상

서론

청각적 언어 환각(auditory verbal hallucination, 이하 AVH)이란 외부에서의 청각적 자극없이 음성을 인식하는 것을 뜻한다. 특정 신경회로의 이상으로 나타나는 AVH는 조현병(schizophrenia)에서 가장 특징적이고 빈번한 증상으로 조현병 환자의 약 70%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1) AVH는 부분적으로 깨어있는 기간과 입면 또는 출면 시에도 나타날 수 있고,2) 정신병이 아닌 건강한 일반인에서 적게는 10%에서 많게는 15%까지3, 4, 5) 환청이 관찰될 수 있다고 보고된다.

AVH 발현은 대뇌 백질 특정 청각 회로의 통합성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추정되는데 병인으로 가장 많이 연루된 백질 섬유관은 궁상다발(arcuate fasciculus, 이하 AF)이며 이 영역은 음성생성영역(이하 Broca영역)과 음성인식영역(이하 Wernicke영역)6)을 연결하는 통로이다.

AVH 발현 메커니즘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조현병에서 AVH의 신경생물학적 기전을 밝히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AVH와 관련된 뇌 활성화가 전두엽 및 측두두정엽 언어 영역뿐만 아니라 해마 주위 영역에서도 관찰되었고,7, 8) 다른 연구에서는 AVH가 있는 환자와 AVH 증상이 없는 일반인 간의 뇌 활성화를 비교하여 좌뇌 우세 감소를 비롯한 주의력의 정신생리학적 측정의 감소,9, 10) 도파민 기능 장애 등 여러 요인과 AVH가 관련 가능성이 있음을 보고하였다.4, 11, 12, 13)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e, 이하 MRI)을 이용한 연구에서는 측두 피질 영역, Broca영역 및 전전두엽 영역과 같이 주로 언어와 관련된 회백질 영역의 볼륨과 두께 변화가 발견되었으며,8, 14) 백질 구조와 관련된 연결 장애로 인해 AVH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결과도 있었다.15, 16)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unctional MRI) 연구에서는 AVH 증상이 있는 대상자의 오른쪽과 왼쪽 측두엽의 피질, Broca영역 및 오른쪽 상동체17, 18, 19)의 활성화가 관찰되기도 하였다.

선행된 뇌파검사(electroencephalography)와 사건유발전위(event-related potential) 연구 결과, 건강한 개인이 말을 하는 동안 청각·지각 영역의 기능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현병 환자에서 정상인에 대비하여 그 억제가 감소되었음이 밝혀졌다.20, 21) 언어 시스템에서 동반 방전 기제(corollary discharge mechanism)의 오작동을 지적한 연구도 있었다.22) 동반 방전 기제란 신경 회로는 스스로 만든 행동의 감각적 결과물에 대한 억제를 한다는 개념으로20) 시각회로에서 이미 증명된 시스템이다. 동반 방전 기제가 청각언어 회로에서도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이 보고되었는데,22) 언어 시스템에서 동반 방전은 전두엽과 측두-두정엽간 연결장애로 해석될 수 있으며15) 연결성의 이상은 Broca영역과 Wernicke영역을 연결하는 AF에서 미세구조의 변화 때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이다.23)

위와 같이 외국에서는 AF의 미세구조 변이를 통해 청각언어 회로의 기능 이상을 밝히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AVH 조현병 환자의 AF 미세구조 변이를 연구한 결과를 찾을 수 없었다. 그러므로 한국인을 대상으로 정상인과 AVH 조현병 환자의 AF 미세구조 변이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는 것은 의미있는 연구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확산텐서영상(diffusion tensor imagine, 이하 DTI)을 이용하여 한국인에서 AVH가 있는 조현병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의 분획 이방성(fractional anisotropy, 이하 FA)을 비교분석하고, Broca영역과 Wernicke영역을 연결하는 AF의 뇌백질 미세구조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대상

본 연구는 범법정신질환자로 형사정신감정 절차를 통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에게 조현병으로 진단받고, 치료감호 등에 관한 법률 제2조1항에 의해 1호 피치료감호 판결을24) 받아 국립법무병원에 입원한 환자에서, 정신감정 당시 AVH를 호소하였고, 정신병증상평가척도(Korean-Psychotic Symptom Rating Scale, 이하 K-PSYRATS)25)에서 현재까지 AVH 지속 중인 자이며, 2022년 12월 31일 기준 만 나이 25세부터 만 55세까지의 연령군에 속한 오른손잡이26) 남자로, 심각한 내외과적 동반 질환이 없는 자 중, 본 연구 참여를 자의적으로 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녀 성별에 따른 뇌 구조의 차이를 배제하기 위하여 남자로만 모집하였다.

동일 연령의 정상 대조군 모집은 국립법무병원 기관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이하 IRB)에서 승인받은 모집공고문을 병원 환자와 일반인이 볼 수 있는 곳에 게시하여 선정 및 배제 기준에 맞는 대조군을 모집하였다. 정상 대조군은 본 연구 참여를 자의적으로 동의한 자 중에서 한국어판 Mini 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27) 검사 결과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진단기준에 따라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에게 정신질환 없음으로 진단된 자로, 2022년 12월 31일 기준 만 25세부터 만 55세까지의 연령군에 속한 오른손잡이26) 남자이며 심각한 내외과적 동반 질환이 없는 자를 선정하였다.

모집된 신청자에게는 연구담당자가 연구의 목적과 위험, 이익 등에 대하여 충분한 설명을 하고, 언제든지 본인이 원하지 않을 때 연구 참여에 대한 동의를 철회할 수 있음을 동의서에 명시하고 설명하였으며, 취약한 피험자인 피치료감호자의 보호를 위하여 연구 참여 여부가 피치료감호자의 수용 종료 및 처우 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명시하고 설명하였다.

모든 참가자에서 의식 장애가 5분 이상 지속되는 두부 외상 병력, 약물 또는 알코올 남용 병력, 심혈관 질환 또는 신경장애와 같은 신체 질환들을 제외기준으로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국립법무병원 I R B의 승인( I R B 번호: 1-219577-AB-N-01-202301-HR-002-02)을 거쳐 시행되었으며, 모든 연구 대상자는 서면으로 된 동의서(written informed consent)를 작성하여 연구 참여에 동의함을 확인하였다.

환청평가도구

대상 환자군의 환청에 대한 자세한 평가를 위해서 KPSYRATS로 면담을 시행하였다. K-PSYRATS은 Haddock 등28)이 정신병적 증상을 자세히 평가하기 위해 만든 PSYRATS 척도를 한국어로 번역한 표준화된 검사 도구이다. 망상과 환청에 대해 각각 빈도, 기간, 고통, 일상생활에서의 영향 등의 세부 항목으로 나누어서 평가하며, 망상 척도는 6개 문항 4점 척도로 24점이 최고, 환청 척도는 11개 문항 4점 척도로 44점을 최고점으로 평가하게 구성되어 있다.

DTI 획득과 분석

국립법무병원에서 운용 중인 3.0T Siemens whole body clinical MR scanner (Siemens, Erlangen, Germany)를 이용하여 DTI를 획득하였다(repetition time=3500 ms, echo time=90 ms, matrix size=112×112 cm, voxel size=2.0×2.0×2.0 mm3, and flip angle=90°, encoding direction=A >> P (Anterior to Posterior), bandwidth=1786 Hz/Px, slice thickness=2 mm, FoV=224×224 mm2, b 계수=0, 1000 sec/mm2, b0 average=32, number of diffusion directions=256). 촬영한 영상 자료는 머리 움직임과 와류(eddy current) 보정을 시행한 이후 FMRIB’s Software Library (https://fsl.fmrib.ox.ac.uk)의 한 module인 Tract-Based Spatial Statistics (이하 TBSS)를 이용하여 FA값을 얻었다. 뇌 백질경로는 Johns Hopkins University-뇌백질경로지도(이하 JHU-white matter tractography atlas)를 사용하여 FA값을 얻었다.29, 30, 31, 32)

DTI 획득 이미지 처리

DTI의 장점은 해부학적 정보를 정량적으로 수치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백질 신경섬유의 특성을 볼 수 있는 FA값을 얻기 위한 전처리 작업으로 확산텐서(diffusion tensor)의 정량화 작업을 진행하였고, 백색질의 신경섬유 변화 분석을 위한 확산텐서영상 분석을 위하여 FSL (FMRIB Software Library, 6.0.6.4 버전, http://www.fmrib.ox.ac.uk/fsl)을 이용하였다.

DTI 전처리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영상 촬영시 연구 대상자의 머리 움직임이나 경사 자기장에 의한 완전류(eddy current)는 dicom format인 diffusion weighted images의 왜곡을 발생시키는데 이렇게 왜곡된 이미지를 확산 경사 자기장이 가해지지 않은 b0 영상을 기준으로 affine registration하여 왜곡을 바로잡는 eddy current correction을 진행한다. 두번째, 영상처리 과정에서 시행되는 공간 정규화(spatial normalization)의 정확성 향상을 위해 뇌 이외의 영역을 brain extraction tool로 제거한다. 전처리 작업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정돈된 뇌 영상을 DTI fit tool (MRIcroGL에서 제공하는 DICOM to NIfTI conversion)을 이용하여 ~nii.gz파일로 변환시킨다. FSL (6.0.6.4 버전) FDT diffusion 메뉴에서 DTI-FIT reconstruct diffusion tensors, specify input files manually를 이용하여 Voxel 단위로 확산 텐서를 정량화함으로써 FA, 평균 확산성(mean diffusivity) 및 방사 확산성(radial diffusivity)과 같은 DTI 파라미터 영상들을 획득하였다.

관심 영역(Region Of Interest) 획득방법

본 연구에서는 특정 신경섬유가 통과하는 해부학적 구조물을 구획하여 그 용적 등을 비교하는 관심 영역법(region-of interest approach)을 적용하여 군간 비교하였으며, Region Of Interest (이하 ROI)는 JUH ICBM-DTI-81 WM atlas (http://www.fmrib.ox.ac.uk/fsl/fslview/atlas.html) 및 JHU WM tractography atlas의 정의를 이용하였다.

ROI로 지정한 신경섬유 경로는 청각·지각 영역과 관련 있다고 증명된 Broca영역과 Wernicke영역을 연결하는 AF이다. 각 군간 ROI에서 FA값을 구하기 위하여 앞에서 언급한 atlas를 이용하였고, ROI를 mask로 피험자들의 FA map과 같은 공간에 위치시킨 후 ROI 내 부위만 추출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ROI별 FA skeleton을 산출하였고, 피험자별 ROI 내 평균 FA값을 군간 비교하였다.

통계 분석

AVH 조현병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의 인구통계학적 분석은 기술통계를 이용하였으며, 관심 영역(AF, Broca영역 및 Wernicke영역)에서 TBSS를 통해 얻어진 FA의 차이는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단순선형회귀분석(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으로 비교하였다. 통계 프로그램은 SPSS version 28.0 (IBM Corp., Armonk, NY, USA)을 사용하였고, 통계적 유의 수준은 p-value 0.05 미만으로 하였다.

결과

모집단 규모와 자료 수집 제한 등을 고려한 연구대상자 선정 기준에 근거하여 2022년 12월 31일 기준 25-55세의 오른손잡이 남자에서 본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자 중 조현병 AVH 환자군 35명과 정상 대조군 33명의 총 68명의 DTI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정상 대조군에서 영상 촬영 중 과호흡을 나타내며 불안을 호소한 2명은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AVH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의 연령대별 분포를 기술통계로 분석한 결과, 대상자 전체의 평균 나이는 41.9세이고 환자군은 45.1세, 대조군은 38.5세였다(표 1). 환자군의 환청 정도는 평균 28.71±7.13점이며, 평균 재원기간은 6.87±3.87년이었다(표 1).

Table 1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DTI를 통해 얻은 Entire area, AF, Broca영역, Wernicke 영역의 FA를 비교한 결과 AVH 환자군에서 Entire area의 FA가 0.24±0.020으로 정상군의 0.26±0.020보다 낮게 나타났으며(t=2.731, p=0.004), AF에서도 환자군이 0.42±0.043으로 정상 대조군 0.46±0.042보다 유의하게 낮았다(t=4.349, p<0.001). 그 외 Broca영역과 Wernicke영역에서는 유의한 FA 차이가 없었다(표 2, 그림 1).

Fig. 1
FA value comparison in arcuate fasciculus, Broca’s area and Wernicke’s area. FA, fractional anisotropy; AVH, auditory verbal hallucination.

Table 2
FA of white matter tracts by Johns Hopkins University-WM tractography atlas

Entire area의 FA는 AF (p<0.001), Broca영역(p<0.001), Wernicke영역(p<0.001)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Broca영역과 Wernicke영역은 서로 밀접한 양의 상관관계(p<0.001)를 갖고 있음이 나타났다. K-PSYRATS의 Auditory Score는 Entire area, AF, Broca영역, Wernicke영역 모두에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고, AF와 Broca영역, Wernicke영역도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표 3).

Table 3
Correlation analysis of white matter tracts’s FA and K-PSYRATS’s Auditory Score

AVH 환자군에서 Entire area (β=-0.319, p=0.008)와 AF (β=-0.472, p<0.001)에서 FA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Broca영역과 Wernicke영역의 FA는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표 4).

Table 4
Result of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고찰

이번 연구는 DTI로 AVH가 있는 조현병 환자와 정상 대조군 간의 단면 비교 연구이다. 결과로는 환청이 있는 환자군의 청각 회로 중 하나인 AF에서 FA의 감소를 나타내었다(p<0.05). 이는 백질 다발에서, 섬유화된 조직의 배열이 흐트러져서 내부 물 분자 확산이 여러 방향으로 자유로워질수록 FA는 등방성(isotropy)을 띄게 되고 값이 감소하며, 조직의 배열이 견고하고 일정하여 내부 물 분자 확산이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치게 되는 비등방성을 띄게 될수록 증가한다는 것을33) 확인하였다. AF는 Broca영역과 Wernicke영역 사이의 백질 연결 통로이다. 본 연구에서 AVH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의 백질 연결성을 나타낼 수 있는 FA를 비교한 결과 Broca영역과 Wernicke영역의 FA값 변화는 없었으나 정상 대조군에서 AF 영역의 FA값이 유의미하게 컸다. 이는 AVH 환자군의 AF 영역에 구조적 손상이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해 밝혀진 AF의 구조적 손상은 조현병의 잠재적 표지자로써, AF의 구조적 손상과 환청과의 생물학적 기전에 대하여 구체적 변인과 추후 함께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조현병은 진단적으로 복잡한 임상적 표현형을 특징으로 하며, 광범위하게 양성, 음성 및 인지 증상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환청이 있는 조현병 환자 그룹에서 나타난 영상 특이적 FA는 다른 증상 차원이나 조현병의 질병 관련된 다른 요인과 관련되어 있을 수 있다.34) 연령 또한 조현병에서 백질 및 회백질 이상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35, 36, 37, 38) 이전 연구의 혼합된 결과는 연령 범위 및 질병 기간의 이질성을 반영할 수 있으며, 여기서 나이가 많은 조현병 환자에서의 차이는 장기간의 이환 기간 및 누적 약물 효과와 혼동될 수 있다.33) 초기 조현병 환자의 FA값과 만성 조현병 환자의 FA값이 서로 다른 기전으로 나타나기도 한다는 연구도 있다.39, 40) 따라서 이번 단면 연구 뿐만이 아니라, 추후 다른 관련 요인들과의 통합적인 연구도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이번 연구의 성과는 기존 해외에서 연구되었던 AF 영역에서 백질 미세구조의 차이에 대하여 한국인을 대상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했다는 점이며, 후향 연구에서는 뇌의 회백질을 포함한 전반적 백질 구조에서의 변이와 조현병의 임상 증상에 결부되는 신경생물학적 지표 등을 활용하여 발병 시점, 질병 이환 기간, 약물 치료 시점, 질병 관련 표지자 등 다양한 변수와 연계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국내 피치료감호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로써 환자군 모집에 제약이 많았고, 조현병 환자군에서 환청 유무로 세부적으로 나누지 못하고, 환청이 없는 환자군을 포함시키지 못한 점, 환자군의 특성이 일반 조현병 환자군과 다를 수 있다는 점, 초발과 재발에서의 증상 및 구조에서의 차이 가능성, 장기간의 입원 치료 기간, 약물 투여 종류, 용량에 따른 영향 가능성, 외국인으로 표준화된 JHU-white matter tractography atlas를 사용한 점 등이 제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결론

이번 연구에서는 AVH 환자군이 정상 대조군보다 AF에서 FA값이 더 작은 것으로 확인이 되었고(p<0.05), Broca영역과 Wernicke영역에서는 FA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FA값이 작다는 것은 백질에서 비등방적으로 물 분자 확산이 이루어진다고 해석할 수 있으며, 이는 백질의 구조적 결함이 높음을 뜻하는 것이므로 AVH 환자에서는 AF의 미세구조의 변화가 동반될 수 있다. 이는 좀 더 의학적으로 설득력 있는 결과 값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Notes

Conflicts of Interest:The authors have no financial conflicts of interest.

Author Contributions:

  • Conceptualization: all authors.

  • Data curation: MyungJe Sung, KiWon Song, Takjong Jung.

  • Formal analysis: MyungJe Sung, KiWon Song, Jina Jung.

  • Methodology: all authors.

  • Supervision: Hae Kook Lee.

  • Writing—original draft: MyungJe Sung.

  • Writing—review & editing: MyungJe Sung, Jina Jung.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2023년 법무부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Mori S, Wakana S, Nagae-Poetscher LM, van Zijl PCM. In: MRI atlas of human white matter. 1st ed. Amsterdam: Elsevier; 2005.
    1. Sartorius N, Jablensky A, Korten A, Ernberg G, Anker M, Cooper JE, et al. Early manifestations and first-contact incidence of schizophrenia in different cultures. A preliminary report on the initial evaluation phase of the WHO collaborative study on determinants of outcome of severe mental disorders. Psychol Med 1986;16:909–928.
    1. Tien AY. Distributions of hallucinations in the population. Soc Psychiatry Psychiatr Epidemiol 1991;26:287–292.
    1. Sommer IE, Daalman K, Rietkerk T, Diederen KM, Bakker S, Wijkstra J, et al. Healthy individuals with auditory verbal hallucinations; who are they? Psychiatric assessments of a selected sample of 103 subjects. Schizophr Bull 2010;36:633–641.
    1. Beavan V, Read J, Cartwright C. The prevalence of voice-hearers in the general population: a literature review. J Ment Health 2011;20:281–292.
    1. Bernal B, Ardila A. The role of the arcuate fasciculus in conduction aphasia. Brain 2009;132(Pt 9):2309–2316.
    1. Jardri R, Pouchet A, Pins D, Thomas P. Cortical activations during auditory verbal hallucinations in schizophrenia: a coordinate-based meta-analysis. Am J Psychiatry 2011;168:73–81.
    1. Kühn S, Gallinat J. Quantitative meta-analysis on state and trait aspects of auditory verbal hallucinations in schizophrenia. Schizophr Bull 2012;38:779–786.
    1. Havermans R, Honig A, Vuurman EF, Krabbendam L, Wilmink J, Lamers T, et al. A controlled study of temporal lobe structure volumes and P300 responses in schizophrenic patients with persistent auditory hallucinations. Schizophr Res 1999;38:151–158.
    1. Turetsky BI, Cannon TD, Gur RE. P300 subcomponent abnormalities in schizophrenia: III. Deficits in unaffected siblings of schizophrenic probands. Biol Psychiatry 2000;47:380–390.
    1. Levitan C, Ward PB, Catts SV. Superior temporal gyral volumes and laterality correlates of auditory hallucinations in schizophrenia. Biol Psychiatry 1999;46:955–962.
    1. Weiss EM, Hofer A, Golaszewski S, Siedentopf C, Felber S, Fleischhacker WW. Language lateralization in unmedicated patients during an acute episode of schizophrenia: a functional MRI study. Psychiatry Res 2006;146:185–190.
    1. Hugdahl K, Løberg EM, Specht K, Steen VM, van Wageningen H, Jørgensen HA. Auditory hallucinations in schizophrenia: the role of cognitive, brain structural and genetic disturbances in the left temporal lobe. Front Hum Neurosci 2008;1:6
    1. Palaniyappan L, Balain V, Radua J, Liddle PF. Structural correlates of auditory hallucinations in schizophrenia: a meta-analysis. Schizophr Res 2012;137:169–173.
    1. Whitford TJ, Kubicki M, Schneiderman JS, O’Donnell LJ, King R, Alvarado JL, et al. Corpus callosum abnormalities and their association with psychotic symptom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Biol Psychiatry 2010;68:70–77.
    1. Whitford TJ, Kubicki M, Shenton ME. Diffusion tensor imaging, structural connectivity, and schizophrenia. Schizophr Res Treatment 2011;2011:709523
    1. Shergill SS, Brammer MJ, Williams SC, Murray RM, McGuire PK. Mapping auditory hallucinations in schizophrenia using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Arch Gen Psychiatry 2000;57:1033–1038.
    1. Sommer IE, Ramsey NF, Mandl RC, Kahn RS. Language lateralization in femal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 fMRI study. Schizophr Res 2003;60:183–190.
    1. Diederen KM, De Weijer AD, Daalman K, Blom JD, Neggers SF, Kahn RS, et al. Decreased language lateralization is characteristic of psychosis, not auditory hallucinations. Brain 2010;133(Pt 12):3734–3744.
    1. Ford JM, Roach BJ, Faustman WO, Mathalon DH. Synch before you speak: auditory hallucinations in schizophrenia. Am J Psychiatry 2007;164:458–466.
    1. Heinks-Maldonado TH, Mathalon DH, Houde JF, Gray M, Faustman WO, Ford JM. Relationship of imprecise corollary discharge in schizophrenia to auditory hallucinations. Arch Gen Psychiatry 2007;64:286–296.
    1. Paus T, Marrett S, Worsley K, Evans A. Imaging motor-to-sensory discharges in the human brain: an experimental tool for the assessment of functional connectivity. Neuroimage 1996;4:78–86.
    1. Lichtheim L. On aphasia. Brain 1885;7:433–484.
    1.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Act on medical treatment and custody [Internet]. Sejong: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cited 2023 Aug 15].
    1. Jung SM, Kim MK, Lee JB, Choi JH, Jung BJ, Byun W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sychotic symptom rating sca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7;46:201–213.
    1. Oldfield RC. The assessment and analysis of handedness: the Edinburgh inventory. Neuropsychologia 1971;9:97–113.
    1. Yoo SW, Kim YS, Noh JS, Oh KS, Kim CH, NamKoong K, et al.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the mini-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Anxiety Mood 2006;2:50–55.
    1. Haddock G, McCarron J, Tarrier N, Faragher EB. Scales to measure dimensions of hallucinations and delusions: the psychotic symptom rating scales (PSYRATS). Psychol Med 1999;29:879–889.
    1. Wakana S, Jiang H, Nagae-Poetscher LM, van Zijl PC, Mori S. Fiber tract-based atlas of human white matter anatomy. Radiology 2004;230:77–87.
    1. Gorgolewski KJ, Varoquaux G, Rivera G, Schwarz Y, Ghosh SS, Maumet C, et al. NeuroVault.org: a web-based repository for collecting and sharing unthresholded statistical maps of the human brain. Front Neuroinform 2015;9:8
    1. Oishi K, Faria A, van Zijl PCM, Mori S. In: MRI atlas of human white matter. 2nd ed. Amsterdam: Elsevier; 2010.
    1. NeuroVault. JHU ICBM tracts maxprob thr25 1mm [Internet]. NeuroVault Repository; [updated 2016 Jan 21]. [cited 2023 Aug 20].
    1. Jun JS, Kim HJ, Yang PS, Choi CG, Kim SJ, Lee JH, et al. The effect of imaging parameters of diffusion tensor imaging on fractional anisotropy. J Korean Radiol Soc 2007;57:315–322.
    1. Ford JM, Morris SE, Hoffman RE, Sommer I, Waters F, McCarthy-Jones S, et al. Studying hallucinations within the NIMH RDoC framework. Schizophr Bull 2014;40 Suppl 4:S295–S304.
    1. Cropley VL, Klauser P, Lenroot RK, Bruggemann J, Sundram S, Bousman C, et al. Accelerated gray and white matter deterioration with age in schizophrenia. Am J Psychiatry 2017;174:286–295.
    1. Di Biase MA, Cropley VL, Baune BT, Olver J, Amminger GP, Phassouliotis C, et al. White matter connectivity disruptions in early and chronic schizophrenia. Psychol Med 2017;47:2797–2810.
    1. Di Biase MA, Cropley VL, Cocchi L, Fornito A, Calamante F, Ganella EP, et al. Linking cortical and connectional pathology in schizophrenia. Schizophr Bull 2019;45:911–923.
    1. Jones DK, Catani M, Pierpaoli C, Reeves SJ, Shergill SS, O’Sullivan M, et al. Age effects on diffusion tens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tractography measures of frontal cortex connections in schizophrenia. Hum Brain Mapp 2006;27:230–238.
    1. Lyall AE, Pasternak O, Robinson DG, Newell D, Trampush JW, Gallego JA, et al. Greater extracellular free-water in first-episode psychosis predicts better neurocognitive functioning. Mol Psychiatry 2018;23:701–707.
    1. Oestreich LKL, Lyall AE, Pasternak O, Kikinis Z, Newell DT, Savadjiev P, et al. Characterizing white matter changes in chronic schizophrenia: a free-water imaging multi-site study. Schizophr Res 2017;189:153–161.

Metrics
Share
Figures

1 / 1

Tables

1 / 4

PERMA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