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Orthop Assoc. 2020 Aug;55(4):311-317. Korean.
Published online Aug 21, 2020.
Copyright © 2020 by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Review
전방십자인대 대퇴터널 형성을 위한 방법들과 각각의 장단점
이상학, 이명구
Femoral Tunnel Drilling Techniques i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Sang Hak Lee, M.D., Ph.D., and Myeong Gu Lee, M.D.
    •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at Gangdong, College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Received February 10, 2020; Accepted March 07, 2020.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초록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에 있어서 최근 가장 각광받고 있는 개념은 해부학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이다. 경경골 술식을 이용한 고전적인 방법에 비하여 해부학적 재건술을 위해서 경골터널은 이전보다 전방으로 이동하며 대퇴터널은 낮고 비스듬한 방향으로 만들게 된다. 따라서 낮고 비스듬한 해부학적인 위치의 대퇴터널을 만들기 위하여 전내측 도달법을 통한 술식(anteromedial portal technique), outside-in 술식, 그리고 변형된 경경골 술식(modified transtibial technique) 등이 시행되고 있다. 각각의 방법은 장단점이 있어 술자의 선호도, 경험, 사용 가능한 기구 및 이식건의 선택 등에 따라 선택된다.

Abstract

The most recent concept i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is an anatomical single bundle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For an anatomical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the tibial tunnel is made anterior than before, and the femoral tunnel is made in a lower and oblique direction compared to the classical method using the transtibial technique. The anteromedial portal technique, outside-in technique, and modified transtibial technique have been performed to produce femoral tunnels with anatomical positions. Each method has different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d is chosen based on the operator's preferences, experience, instruments, and implants.

Keywords
anterior cruciate ligament; femoral tunnel; transtibial technique; anteromedial portal technique; outside-in technique
전방십자인대; 대퇴터널; 경경골 술식; 전내측 도달법을 통한 술식; outside-in 술식

서론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에 있어서 단일다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single bundle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은 관절경하 재건술이 시작된 이후 고전적인 방법으로 사용되어 온 방법으로 이식편의 등장성(isometric point)을 강조한 경경골 술식(transtibial technique)을 이용한 one incision 방법으로 널리 시행되었다. 그러나 경경골 술식은 해부학적인 전방십자인대에 비해 대퇴터널이 수직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슬관절의 회전안정성을 얻지 못한다는 단점이 제기되었다.1, 2, 3, 4, 5, 6, 7, 8) 이를 극복하기 위해 대퇴터널을 비스듬하게 만드는 방법과 이중다발 재건술 등이 시행되었으나 임상적인 장점은 크게 없었으며 여전히 남아있는 회전 불안정성과 재수상, 퇴행성 관절염의 발생 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최근 가장 각광받고 있는 개념은 해부학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이다. 이중다발 재건술에서 많이 강조되었던 해부학적 재건술과 비스듬한 대퇴터널의 개념은 유지하되 이중다발 재건술을 고집하지 않고 단일다발 재건술을 통하여 해부학적 재건술을 시행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해부학적 재건술을 위하여 경골터널은 이전보다 전방으로 이동하며 대퇴터널을 낮고 비스듬한 방향으로 만들게 된다.23, 24, 25, 26) 이를 통해 대퇴터널을 해부학적 부착부에 만들 수 있으며 기존의 경경골 술식에 비해 대퇴터널이 등쪽(dorsal)에 위치하게 된다(Fig. 1). 이러한 해부학적인 위치의 대퇴터널을 만들기 위하여 전내측 도달법을 통한 술식(anteromedial portal technique), outside-in 술식, 그리고 변형된 경경골 술식(modified transtibial technique) 등이 시행되고 있다. 각각의 방법은 장단점이 있어 술자의 선호도, 경험, 사용 가능한 기구 및 이식건의 선택 등에 따라 선택된다. 저자는 각각의 방법들을 설명하고 이에 대한 장단점에 대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Figure 1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of the lateral femoral side.

본론

1. 변형된 경경골 술식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에 있어서 경경골 술식을 이용한 단일다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은 관절경하 재건술이 시작된 이후 고전적이고 가장 표준적인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이식편의 등 장성 지점을 이용하여 시행되며 추가적인 절개 및 도달법이 사용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비스듬한 대퇴터널 형성을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에 단점이 있으므로 경경골 술식을 변형하여 대퇴터널을 비스듬하게 형성하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경경골 술식에서는 슬관절 90도 굴곡 자세에서 먼저 경골터널을 만든 뒤 이 경골터널을 통해 터널 유도기를 삽입하여 대퇴터널을 만드려는 위치에 유도 강선을 삽입하고 이 유도 강선을 통해 터널 확공기를 삽입하여 대퇴터널을 만들게 된다. 경경골 술식은 경골터널을 만든 절개부위를 사용하여 대퇴터널을 만들기 때문에 추가적인 절개가 필요하지 않다. 그리고 이식건의 등장성이 유지된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식건의 방향이 유지되어 터널 입구에서 이식건이 충돌되지 않아 추후 이식건이 마모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Table 1).27, 28) 그러나 경골터널의 각도와 위치에 따라 대퇴터널의 위치가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고전적인 경경골 술식에서는 대퇴터널의 위치가 해부학적 전방십자인대 대퇴부착 부위보다 높게 위치하게 되어 이식건이 수직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슬관절의 회전 안정성을 얻지 못한다(Table 2).1, 2, 3, 4, 5, 29)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변형된 경경골 술식이 제시되었다.30, 31, 32)

Table 1
Advantages of the Transtibial Technique

Table 2
Disadvantages of the Transtibial Technique

변형된 경경골 술식은 기존의 경경골 술식이 익숙한 술자에게 큰 어려움 없이 적용이 가능하며 기존의 고정물 및 가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양한 저자들이 방법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미리 대퇴터널의 위치를 표시하여 가이드 핀을 휘게하여 만드는 방법,32) 경골을 내반 및 내회전시키는 방법,30) 경골을 내반 및 외회전시키는 방법31) 등이 소개되었다. 각각의 방법들을 통하여 충분한 대퇴터널의 길이를 형성할 수 있으며, 해부학적인 위치에 대퇴터널을 만들고 우수한 임상적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그러나 다양한 힘을 가하더라도 경골터널을 통하여 해부학적인 대퇴터널을 만들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경골터널이 비스듬하게 만들어지며 경골터널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33)

2. 전내측 도달법을 이용한 술식

이 술식은 해부학적인 대퇴터널이 각광을 받은 이후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시행되고 있는 술식이다. 이는 전내측 도달법을 이용하여 경골터널과 독립적으로 대퇴터널을 형성할 수 있어 술자가 원하는 위치에 대퇴터널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이다.

전내측 도달법을 working portal로 사용하며 관절경은 전외측 도달법으로 관찰한다. 먼저 슬관절 90도 굴곡 자세에서 전내측 도달법을 통해 유도 강선을 관절 내로 삽입하여 원하는 대퇴터널 시작점에 위치시킨다. 이후 슬관절을 최소 120도 이상 과굴곡시킨 상태에서 유도 강선을 대퇴골로 삽입한다(Fig. 2). 이후 유도 강선을 통해 터널 확공기를 삽입하여 대퇴터널을 만들게 되며 터널 확공 시 대퇴 내과의 관절면 손상에 유의해야 한다.34)

Figure 2
The anteromedial portal technique.

이 술식은 경경골 술식과 달리 경골터널과 독립적으로 대퇴터널을 만들게 되므로 해부학적인 위치에 대퇴터널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남아있는 전방십자인대를 보존하면서 재건술을 하기 용이하며 재재건술 시에 기존 터널을 피해 새로운 터널을 만들기 용이하다. 또한 interference screw를 삽입할 때 대퇴터널을 형성한 도달법과 동일한 도달법을 이용하기 때문에 터널과 평행하게 삽입되어 나사와 이식건의 divergence를 줄일 수 있다(Table 3).2, 4, 29, 30, 34, 35, 36) 그러나 대퇴터널이 짧게 형성되어 graft-tunnel mismatch가 발생할 수 있으며 대퇴 후벽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어 이를 피하기 위해 슬관절을 과굴곡시킨 자세에서 수술을 해야 한다. 이 과굴곡자세를 수술 중 유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과굴곡 자세에서는 reaming시 대퇴 내과 연골손상을 줄 수 있고 골조직파편과 지방패드로 인해 관절경 시야가 나쁘다는 단점이 있다(Table 4).34, 37)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flexible guide pin, flexible reamer를 이용하여 슬관절을 과굴곡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수술이 시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좋은 시야를 가지며 좀 더 긴 대퇴터널을 만들 수 있으나 대퇴터널 후벽 손상의 빈도는 유사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8, 39, 40)

Table 3
Advantages of the Anteromedial Portal Technique

Table 4
Disadvantages of the Anteromedial Portal Technique

3. Outside-in 술식

Outside-in 술식은 새로 개발된 술식이 아니라 고전적인 단일다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에서 초기에 “rear-entry”라고 불리던 outside-in 2 incision 방법에서 사용되던 술식으로 최근에는 가이드의 발달과 터널을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기구의 발달로 다시 각광을 받게 된 방법이다. 일반적인 outside-in 방법은 외측에 절개를 가하고 유도 강선을 삽입한 후 대퇴터널을 형성하게 된다. 이는 외측 절개에 대한 합병증 이환율을 올리며 수술 시간이 길어지는 점 등의 단점이 있다.27, 41, 42) 최근에는 기구의 개발을 통하여 retrograde drilling 방법으로 socket 형성이 가능하여 적은 절개를 통해 유도 강선을 삽입하여 대퇴터널을 socket으로 만들어 골소실을 줄이는 장점이 있다.

Flipcutter guide를 전외측 도달법을 통해 삽입하고 전방십자인대 해부학적 부착 위치에 Flipcutter guide의 끝을 위치시킨다. 대퇴 외측에 추가적인 절개를 가한 뒤 Flipcutter guide를 통해 유도 강선을 관절 외에서 관절 내로 삽입한다. 이 유도 강선을 통해 sleeve를 삽입하고 Flipcutter를 관절 내로 삽입한 뒤 끝을 90도로 꺾어 retro-reaming하여 대퇴터널을 형성한다(Fig. 3).

Figure 3
The outside-in technique.

이 술식은 전내측도달법을 이용한 술식과 마찬가지로 경골터널과 독립적으로 대퇴터널을 만들게 되므로 해부학적인 위치에 대퇴터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과굴곡자세에서 수술을 할 필요가 없으며 관절경 시야가 좋고 대퇴 외과 후벽 손상, 대퇴 내과관절면의 연골 손상을 줄일 수 있다.27, 28, 41, 42) 또한 전내측 도달법을 이용한 술식에 비해 긴 대퇴터널을 만들 수 있다(Table 5).43, 44) 그러나 대퇴 외측에 추가적인 절개가 필요하여 이 절개부위의 합병증, 미용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27, 41) 수평한 방향의 대퇴터널로 인해 이식건의 각도가 가파르게 되어 이식건의 마모를 유발할 수 있다.28, 44) 또한 유도장치를 통해 유도 강선 삽입 시 해부학적 위치로 나오지 않아 수차례 유도 강선을 다시 삽입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Table 6).

Table 5
Advantages of the Outside-in Technique

Table 6
Disadvantages of the Outside-in Technique

결론

해부학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위해서는 전방십자인대의 대퇴부착 부위의 해부학적 구조를 이해해야 하며 기존의 경경골 술식에 비해 대퇴터널의 위치를 낮고 비스듬한 방향으로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한 술식으로는 변형된 경경골 술식, 전내측 도달법을 이용한 술식, outside-in 술식이 있다. 하나의 gold-standard는 없으며 각각의 술식은 수술 술기, 장단점이 다르므로 이에 대해 이해해야 성공적인 해부학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할 수 있다.

Notes

CONFLICTS OF INTEREST:The authors have nothing to disclose.

References

    1. Dargel J, Schmidt-Wiethoff R, Fischer S, Mader K, Koebke J, Schneider T. Femoral bone tunnel placement using the transtibial tunnel or the anteromedial portal in ACL reconstruction: a radiographic evaluation.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2009;17:220–227.
    1. Gavriilidis I, Motsis EK, Pakos EE, Georgoulis AD, Mitsionis G, Xenakis TA. Transtibial versus anteromedial portal of the femoral tunnel in ACL reconstruction: a cadaveric study. Knee 2008;15:364–367.
    1. Kopf S, Forsythe B, Wong AK, Tashman S, Irrgang JJ, Fu FH. Transtibial ACL reconstruction technique fails to position drill tunnels anatomically in vivo 3D CT study.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2012;20:2200–2207.
    1. Bedi A, Musahl V, Steuber V, et al. Transtibial versus anteromedial portal reaming i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n anatomic and biomechanical evaluation of surgical technique. Arthroscopy 2011;27:380–390.
    1. Bedi A, Raphael B, Maderazo A, Pavlov H, Williams RJ 3rd. Transtibial versus anteromedial portal drilling fo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 cadaveric study of femoral tunnel length and obliquity. Arthroscopy 2010;26:342–350.
    1. Yau WP, Fok AW, Yee DK. Tunnel positions in transportal versus transtibial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 case-control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Arthroscopy 2013;29:1047–1052.
    1. Franceschi F, Papalia R, Rizzello G, Del Buono A, Maffulli N, Denaro V. Anteromedial portal versus transtibial drilling techniques i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ny clinical relevance? A retrospective comparative study. Arthroscopy 2013;29:1330–1337.
    1. Inderhaug E, Strand T, Fischer-Bredenbeck C, Solheim E. Long-term results after reconstruction of the ACL with hamstrings autograft and transtibial femoral drilling.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2013;21:2004–2010.
    1. Giron F, Cuomo P, Edwards A, Bull AM, Amis AA, Aglietti P. Double-bundle "anatomic"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 cadaveric study of tunnel positioning with a transtibial technique. Arthroscopy 2007;23:7–13.
    1. Yasuda K, Tanabe Y, Kondo E, Kitamura N, Tohyama H. Anatomic double-bundle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rthroscopy 2010;26 9 Suppl:S21–S34.
    1. Yagi M, Kuroda R, Nagamune K, Yoshiya S, Kurosaka M. Double-bundle ACL reconstruction can improve rotational stability. Clin Orthop Relat Res 2007;454:100–107.
    1. Siebold R, Dehler C, Ellert T. Prospective randomized comparison of double-bundle versus single-bundle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rthroscopy 2008;24:137–145.
    1. Adachi N, Ochi M, Uchio Y, Iwasa J, Kuriwaka M, Ito Y. Reconstruction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Single- versus double-bundle multistranded hamstring tendons. J Bone Joint Surg Br 2004;86:515–520.
    1. van Eck CF, Lesniak BP, Schreiber VM, Fu FH. Anatomic single- and double-bundle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flowchart. Arthroscopy 2010;26:258–268.
    1. Buoncristiani AM, Tjoumakaris FP, Starman JS, Ferretti M, Fu FH. Anatomic double-bundle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rthroscopy 2006;22:1000–1006.
    1. Muneta T, Koga H, Mochizuki T, et al.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of 4-strand semitendinosus tendo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comparing single-bundle and double-bundle techniques. Arthroscopy 2007;23:618–628.
    1. Meredick RB, Vance KJ, Appleby D, Lubowitz JH. Outcome of single-bundle versus double-bundle reconstruction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 meta-analysis. Am J Sports Med 2008;36:1414–1421.
    1. Yasuda K, Kondo E, Ichiyama H, Tanabe Y, Tohyama H. Clinical evaluation of anatomic double-bundle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procedure using hamstring tendon grafts: comparisons among 3 different procedures. Arthroscopy 2006;22:240–251.
    1. Cha PS, Brucker PU, West RV, et al. Arthroscopic double-bundle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n anatomic approach. Arthroscopy 2005;21:1275
    1. Harner CD, Poehling GG. Double bundle or double trouble? Arthroscopy 2004;20:1013–1014.
    1. Marcacci M, Molgora AP, Zaffagnini S, Vascellari A, Iacono F, Presti ML. Anatomic double-bundle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with hamstrings. Arthroscopy 2003;19:540–546.
    1. Kondo E, Yasuda K, Azuma H, Tanabe Y, Yagi T. Prospective clinical comparisons of anatomic double-bundle versus single-bundle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procedures in 328 consecutive patients. Am J Sports Med 2008;36:1675–1687.
    1. Lim HC, Yoon YC, Wang JH, Bae JH. Anatomical versus non-anatomical single bundle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 cadaveric study of comparison of knee stability. Clin Orthop Surg 2012;4:249–255.
    1. Carmont MR, Scheffler S, Spalding T, Brown J, Sutton PM. Anatomical single bundle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Curr Rev Musculoskelet Med 2011;4:65–72.
    1. Zantop T, Petersen W, Sekiya JK, Musahl V, Fu FH. Anterior cruciate ligament anatomy and function relating to anatomical reconstruction.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2006;14:982–992.
    1. Yagi M, Wong EK, Kanamori A, Debski RE, Fu FH, Woo SL. Biomechanical analysis of an anatomic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m J Sports Med 2002;30:660–666.
    1. Panni AS, Milano G, Tartarone M, Demontis A, Fabbriciani C.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of ACL reconstruction: a 5- to 7-year follow-up study of outside-in versus inside-out reconstruction techniques.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2001;9:77–85.
    1. Seo SS, Kim CW, Kim JG, Jin SY. Clinical results comparing transtibial technique and outside in technique in single bundle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Knee Surg Relat Res 2013;25:133–140.
    1. Silva A, Sampaio R, Pinto E. ACL reconstruction: comparison between transtibial and anteromedial portal techniques.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2012;20:896–903.
    1. Youm YS, Cho SD, Lee SH, Youn CH. Modified transtibial versus anteromedial portal technique in anatomic single-bundle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comparison of femoral tunnel position and clinical results. Am J Sports Med 2014;42:2941–2947.
    1. Lee JK, Lee S, Seong SC, Lee MC. Anatomic single-bundle ACL reconstruction is possible with use of the modified transtibial technique: a comparison with the anteromedial transportal technique. J Bone Joint Surg Am 2014;96:664–672.
    1. Lee DW, Kim JG. Anatomic single-bundle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the modified transtibial technique. Arthrosc Tech 2017;6:e227–e232.
    1. Piasecki DP, Bach BR Jr, Espinoza Orias AA, Verma N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can anatomic femoral placement be achieved with a transtibial technique? Am J Sports Med 2011;39:1306–1315.
    1. Harner CD, Honkamp NJ, Ranawat AS. Anteromedial portal technique for creating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femoral tunnel. Arthroscopy 2008;24:113–115.
    1. Chang CB, Choi JY, Koh IJ, Lee KJ, Lee KH, Kim TK. Comparisons of femoral tunnel position and length i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modified transtibial versus anteromedial portal techniques. Arthroscopy 2011;27:1389–1394.
    1. Robin BN, Jani SS, Marvil SC, Reid JB, Schillhammer CK, Lubowitz JH.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ranstibial, anteromedial portal, and outside-in femoral tunnel drilling in single-bundle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 systematic review. Arthroscopy 2015;31:1412–1417.
    1. Lubowitz JH. Anteromedial portal technique for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femoral socket: pitfalls and solutions. Arthroscopy 2009;25:95–101.
    1. Fitzgerald J, Saluan P, Richter DL, Huff N, Schenck RC.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a flexible reamer system: technique and pitfalls. Orthop J Sports Med 2015;3:2325967115592875
    1. Steiner ME, Smart LR. Flexible instruments outperform rigid instruments to place anatomic anterior cruciate ligament femoral tunnels without hyperflexion. Arthroscopy 2012;28:835–843.
    1. Silver AG, Kaar SG, Grisell MK, Reagan JM, Farrow LD. Comparison between rigid and flexible systems for drilling the femoral tunnel through an anteromedial portal i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rthroscopy 2010;26:790–795.
    1. Gill TJ, Steadman J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the two-incision technique. Orthop Clin North Am 2002;33:727–735. vii.
    1. Logan JS, Elliot RR, Wilson AJ. TransLateral ACL reconstruction: a technique for anatomic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2012;20:1289–1292.
    1. Lubowitz JH, Konicek J. Anterior cruciate ligament femoral tunnel length: cadaveric analysis comparing anteromedial portal versus outside-in technique. Arthroscopy 2010;26:1357–1362.
    1. Kim JG, Wang JH, Lim HC, Ahn JH. Femoral graft bending angle and femoral tunnel geometry of transportal and outside-in techniques i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n in vivo 3-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analysis. Arthroscopy 2012;28:1682–1694.

Metrics
Share
Figures

1 / 3

Tables

1 / 6

PERMA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