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경성의 도시계획 문헌을 중심으로 근대 공원녹지계획의 내용과 의의를 분석하고 그 한계와 문제의 원인을 고찰하였다. 1910년대와 1920년대의 도시계획에서 공원녹지계획은 중요한 사안이 아니었지만 1934년 조선시가지계획령의 제정과 함께 위상이 높아진다. 다섯 종류, 38개소의 공원이 계획된 1930년의 계획안과 여섯 종류, 140개소의 공원이 계획된 1940년의 공원계획 결정안이 가장 체계적인 경성의 공원녹지계획을 보여준다. 경성의 공원녹지계획은 문화 · 여가의 측면보다 보건 · 위생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제도적으로는 지역지구제의 녹지지역과 풍치지역, 도시시설로 지정된 공원의 이원화된 공원녹지계획의 체계가 나타난다. 경성의 공원녹지계획은 대부분 실행되지 못했는데, 제도적 체계의 미비와 모순, 전시 상황이라는 특수한 외부 조건, 과도한 계획 목표의 설정이 그 원인으로 지적된다. 현실적 제약 속에서 계획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연녹지를 공원으로 편입하고, 지역지구제와 토지구획사업을 통한 실행을 강구하였으며, 대한제국 황실 소유 토지의 공원화를 추진하는 대안이 제시되었다. 완전히 실행되지는 못했으나 경성의 공원녹지계획은 여러 측면에서 발전된 내용을 갖추었으며 1940년 계획안은 해방 이후 서울 공원녹지계획을 수립하는 틀의 역할을 한다.

The study analyzes park and green space plans of Gyeongseong(Seoul) based on official planning documents and examines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In the 1910s and 1920s, establishing the park plan was not a priority agenda of urban planning; however, with the enactment of the urban planning law in 1934, a park and greens space plan became one of the essential steps of the urban planning process. Park plans of 1930 and 1940 present the most developed and systemized structure in the early modern period. The former suggested 38 parks in 5 categories, and the latter proposed 140 parks in 6 categories. These planning documents emphasized the role of parks as sanitation infrastructure; whereas the function of leisure and cultural space was not considered important. The land-use zoning system and designation of park as urban facilities were proposed to implement the park plan. The park plans were not able to be implemented for three reasons: institutional inertia, lack of resources due to war time condition, and unreasonable planning goals. However, there were efforts to find alternatives to improve parks and green spaces, such as including natural green area to park areas, implementing plans through both land-use zoning and land readjustment projects, and appropriate palaces as parks. Even though the park and green space plans of Gyeongseong could not fully implemented, there were major improvements in park planning throughout the early modernization period, and the plan of 1940 provided the framework of the park system of Seoul after establishment of Republic of Korea.

목차

국문요약
Abstract
1. 서론
2. 경성 도시계획의 변화와 공원녹지계획의 관계
3. 경성부 공원녹지계획의 제도와 내용
4. 경성부 공원녹지계획의 필요성과 의의
5. 경성부 공원녹지계획의 한계와 대안
6.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46)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