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10%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9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보건의료는 예방과 재활 등을 널리 포함하는 공공임무로 그 수행방식은 다양한 이해관계에 불가분적으로 연계되며 헌법상 보건권 역시 이러한 모습을 예정하고 있다. 이미 민간 의료산업은 전체 의료서비스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보건의료 데이터의 활용은 그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보건의료 데이터의 원활한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의 측면이 조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보건의료의 요청과 개인정보보호의 이념이 상호 부합되도록 법제도를 운용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각종 보건의료 데이터가 구체적인 사안에서 어떤 법률의 적용에 놓이는지 보다 명확한 정리가 필요하며 추가적으로 보건의료 관련법령 및 공공데이터 법제를 개선할 부분도 발견된다. 또한 보건의료 데이터의 가명처리 후 이용에서 충분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 보건의료 데이터는 대개 민감정보라는 점에서 보호필요성이 존재하나 동시에 각각의 콘텍스트에 적합하게 리스크가 관리되면서 처리됨이 중요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경계적인 사고에 의해 일의적이고 한정적인 정보 개념을 추구하는 것은 바람직한 방향이 될 수 없다. 끝으로, 데이터의 전송요구권은 견해의 대립이나 실무상 운용방식에도 불구하고 그 출발점을 개인의 정보자기결정권에 두고 있음을 논증하였다. 이에 기초한 마이데이터 사업은 보건의료 데이터의 활용에 있어서도 큰 의미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Die Gesundheitsversorgung ist eine öffentliche Aufgabe, in der medizinische, präventive und rehabilitative Maßnahmen umgreifend beinhaltet werden. Dass die Leistungen der Gesundheitsverworgung untrennbar mit den Interessen unterschiedlicher Trägern verbunden sind, hat schon das Grundrecht auf Gesundheit dafür vorgesehen. Je größer die Rolle der privaten Gesundheitsbranche im gesamten Gesundheitswesen ausgedehnt wird, desto mehr wird Umgang mit Gesundheitsdaten unterstrichen. Nun ist es nicht heftig umstritten, dass Nutzung gesundheitsrelevanter Daten weiter gefördert werden soll, sei es durch die private Gesundheitswirtschaft, sei es vom Staat. Trotz der oder wegen der Erforderlichkeit von Datenverarbeitung ist das Schutz personenbezogener Daten seines Sinne nicht entleert worden. Die Datenschutzvorschriften orientieren sich daran, dass Umgang mit Gesundheitsdaten im Einklang mit den Grundrechten auf Privatsphäre und auf Schutz personenbezogener Daten stehen soll. Bei der praktischen Verarbeitung von Gesundheitsdaten müssen dies sorgfälltig bewertet und abgebogen werden, damit verschiedene Aspekte und Gegebenheit angemessen berücksichtigen. Vor allem gibt es einen vordringlichen Bedarf der Novellierung der betreffnden Vorschriften über die Definition „pseudonymisierter Daten“ und ihrer Nutzung, Übermittlungen der öffenen Daten usw. Zudem handelt es sich beim Umgang mit pseudonymisierten Gesundheitsdaten darum, dass gesundheitsrelevante Daten in Anbetracht der gegebenen Kontext unter dem angemessenen Risikomanagement (sog. Kontextabhängigkeit) verarbeiten soll. Schließlich wird erwartet, dass das Recht auf Datenübertragbarkeit und sog. My Data-Projekt spielt eine wichtige Rolle für die Verarbeitung von Gesundheitsdaten.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헌법상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의 문제
Ⅲ. 보건의료 데이터의 규율 현황과 과제
Ⅳ. 결어
참고문헌
Zusammenfassung

참고문헌 (4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2-362-0001050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