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4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유교 국가를 지향하며 개국한 조선은 『朱子家禮』를 기반으로 하는 일상생활 속 제례의 지속적인 실천을 효행으로 설명하며 이의 확산을 위하여 다양한 정책을 펼쳤다. 그 결과 15세기 조선은 가묘 및 신주를 통한 죽은 부모에 대한 지속적인 유교식 의례도 효행으로 간주하기 시작하는 등 효행의 범위가 확대되었다. 마치 죽은 부모가 살아 있는 것처럼 일상적인 공간에서 지속적인 효행을 실천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일상생활 속 지속적인 효행의 실천은 조선이 지향하던 유교식 효행의 하나였다.
왕실 또한 文昭殿을 설립하며 왕의 혈통을 중심으로 하는 일상적인 효행을 실천한다. 그러한 가운데 문소전에 봉안한 장순왕후의 신주를 도난당하는 사건이 발생하고, 조정은 이를 부모의 죽음으로 설명하며 흉례를 거행한다. 즉 가묘와 신주는 의례를 위한 도구가 아닌 죽은 부모를 대신하는 신성성을 획득한 것이다.
이러한 가운데 16세기 초에는 士林을 중심으로 효행의 엄격한 적용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등장한다. 15세기까지 국가는 상장례와 제례의 확산을 위하여 일상생활 내 의례 확산 및 실천에 집중하였는데, 16세기에는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의례 실천의 진정성을 요구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들은 禮와 孝가 동일한 것만은 아니라며, 문소전의 의례를 非禮로 규정하고 폐지를 요구한다. 이때 사림들은 문소전의 의례가 종묘의 역할과 겹치고, 의례가 너무 번독하여 정성이 깃들지 않는다는 이유를 들었다.
己卯士禍 이후 中宗 대에 문소전에 대한 직접적인 비판은 더 이상 없었으나, 여전히 많은 이들이 문소전에 대한 비판에 동조하였다. 즉 先祖를 위한 의례도 정성을 들이지 않으면 예가 아닐 수 있다는 새로운 인식이 확산하고 있었던 것이다.

Joseon, which was founded to pursue Confucianism, sought to establish the Confucian order of Joseon based on the “Jujagye”(주자가례). In this process, filial piety based on “Jujagye” was actively utilized, and the continuous practice of rituals in daily life was explained as filial piety. In additio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internalization of Confucian filial piety was pursued through various methods in order to accommodate the rituals related to Confucian filial piety.
As such, the scope of filial piety expanded with the introduction of Confucian filial piety after the founding of Joseon. As a result, Joseon in the 15th century began to regard continuous Confucian rituals for dead parents through the installation of family tombs, called of “gamyo”. This allowed the people to practice continuous filial piety in a daily space as if their dead parents were alive. And the continuous practice of filial piety in daily life was one of Joseon"s Confucian filial piety.
Among these, the royal family also intends to establish “Munsojeon” (문소전) to practice daily filial piety centered on the royal lineage. In addition, the Confucian-style listing ceremony in the early 16th century will gradually become a good practice through distribution of books on filial piety, reward policies, and various policies in the 15th century. The same recognition of the Confucian ceremony and filial piety can be seen through the theft of Queen Jangsoon’s ancestral tablet in Munsojeon. After the theft of Queen Jangsoon"s ancestral tablet in Munsojeon, the royal court held a memorial service explaining it as the death of their parents. In other words, the perception that rituals for dead parents through “gamyo” and ancestral tablet are one of filial piety has been established.
The nation"s efforts throughout the 15th century deepened the understanding of Confucian rituals and filial piety in Joseon society, which led to calls for strict application of filial piety in the early 16th century. Until the 15th century, the state focused on the spread and practice of ceremonies for parents in everyday life in order to spread public ceremonies and rituals. However, in the 16th century, people who took a step further from these national policies began to demand the sincerity of ritual practice. They argue that examples and filial piety are not the same.
After the “Gimyosahwa”, criticism of Munsojeon during the King Jungjong period no longer appeared, but many sympathized with the criticism of Munsojeon. In other words, there was a growing new perception that ceremonies for their ancestor might not be an example if one does not put one"s heart into it.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15세기 유교식 효행의 강조와 문소전 설립
3. 유교식 효행의 정착과 장순왕후 신주 도난 사건
4. 문소전에 대한 비판과 유교식 효행에 대한 인식 변화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1-001-001936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