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그러면, 그래서, 그러니까’를 중심으로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paper examines three domains of ‘Geureo-’ type conjunctive adverbs, ‘Geureomyeon’, ‘Geuraeseo’ and ‘Geureonikka’ in terms of Sweetser’s (1990) three domains of conjunctions including content connection, epistemic connection, and speech-act connection. As a result of quantitative analysis, three domains are classified into content domain: the subsequent utterance describes the real world’s event and state, epistemic domain is elicited from the speaker’s epistemic domain, and speech-act domain performs the speech -act with the utterance performance. The findings identified that ‘Geureomyeon’ and ‘Geureonikka’ are frequently used in speech-act connection. What is more, ‘Geuraeseo’ is used regularly in content connection. Most studies on ‘Geureo-’ type conjunctive adverbs have focused on the function of discourse marker. In the case of the substitute object limited to the precedent utterance, the meaning of the connecting utterance is logically clear, and plays a role in connecting the precedent utterance and the subsequent utterance. However, when the object of substitution is extended to the situational context or language context, it is no longer the logical value of the propositional dimension, as it is turned into a specific function in the discourse, and functions as a discourse mark. This explains why ‘Geureo-’ type conjunctive adverbs can be used as discourse markers. It is thought that this adverb becomes a discourse marker when the scope of substitution in ‘Geure-’ type is extended into the situational context. The meaning of the connective ending deviates the logical value of the propositional level, turning it into a particular function on the discourse.

목차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그러-’ 계열 접속부사의 세 가지 영역
3.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810-0018979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