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스페인이 시행한 필리핀 지배정책의 핵심수단이 가톨릭이었다면 미국의 필리핀 통치정책의 중심 매개체는 미국식 공교육이었다. 듀이 제독이 마닐라 만에서 스페인 함대를 격파한 이후부터 미국은 학교를 개교하였고 미군정의 선포, 필리핀-미국 전쟁, 민간 식민정부를 수립하며 미국식 공교육 체제를 도입하고 정착시켜 나갔다. 이 글의 목적은 미국의 공교육 도입 과정과 내용을 밝히고 공교육 보급의 이유를 분석하며 필리핀에서의 미국식 공교육 정책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미군정과 제1차 필리핀 위원단의 교육활동을 분석한다. 셔먼을 단장으로 하는 제1차 필리핀 위원단은 스페인 통치 이후 필리핀 초등교육의 열악한 실태를 조사하였고 간단하게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제2차 필리핀 위원단과 민간 식민정부의 공교육 도입 정책을 탐구한다. 태프트가 이끄는 제2차 필리핀 위원단의 임무는 군정 당국이 이미 수립한 시스템을 확대 발전시키고 개선하는 것이었다. 태프트는 교육총감에 앳킨슨을 임명하여 교육법을 통과시키고 공교육 체제를 정착시켜 나갔고 이는 태프트가 초대 민정장관이 되면서 자연스럽게 민정으로 계승되었다. 정책의 중심은 학교의 설립, 교육 자료의 보급, 영어 보급과 이를 실천할 교사의 선발과 양성이었다. 특히 미국인 교사단인 토마스 선단원의 초빙으로 신속하게 수준 높은 영어 교육을 진행하였고 전국의 필리핀인 교사들에게 사범교육을 시켰다. 그 결과 5년 만에 지역 차원에서도 영어는 스페인어보다 더 많이 쓰이게 되었다. 미국이 필리핀 식민지에서 공교육 체제를 도입한 목적은 일면적이지 않고 복합적이다. 미국의 목적은 스페인의 영향력 약화, 필리핀 독립군의 평정 보조, 미국식 민주주의 훈련과 문명국으로 성장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스페인을 물리치고 미군정을 선포한 후 필리핀-미국 전쟁이 진행되던 식민 통치 초기에는 처음 두 가지 목표가 강조되었다. 이 목표들은 대체로 성공적으로 달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민정 수립 이후에는 자치 능력 향상을 통한 민주주의 실현이라는 목적이 강조되었는데 그 타당성과 실현 여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이 글은 영어의 보급과 미국식 교육의 전파가 필리핀인들에게 호응을 얻었고 민주주의 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도 사실이라고 인정한다. 그러나 미국이 자치능력을 보유한 필리핀인들을 야만적 이미지로 조작하였고 그들의 물리적·평화적 저항에 대해 철저히 탄압했다는 점들을 지적하며 미국의 민주주의 교육이란 미국식 사고방식을 전파하는 미국화 교육이었으며, 식민 통치를 합리화하고 장기적 식민지배로 나아가려는 목적을 위장하는 효과적인 수사에 가깝다고 평가한다.


Whereas Catholicism was the core medium of Spanish policy to rule the Philippine colony, America’s public education was the main vehicle with which United States colonized the Philippine Archipelago. Since Commodore Dewey beat the Spanish Armada in Manila Bay, American military authority opened schools. Furthermore, Americans introduced and settled down public education system with the declaration of U.S. military government, Philippine-American War,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civil governmen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ain the process and contents of public education, to analyze the reason for its spread, and to evaluate the American public education policy toward the Philippines. To do this, in the first place, the article analyzes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the first Philippine Commission. The Schurman Commission (the first Philippine Commission) investigated the poor condition of primary schooling in the Philippines after Spanish rule and suggested a simple remedy. In the second place, it explores the introduction of public education by the second Philippine Commission and the civilian government. The task of the second Philippine Commission, led by Taft, was to expand, develop, and improve the system already established by the military government. Taft invited Fred Atkinson as General Superintendent of Education and he passed the education law and got education system settled down. As Taft became the first civil governor, the second Commission’s policy succeeded softly to the civil government. The focus of the policy was on establishment of schools, dissemination of educational materials, distributing English, and selecting and fostering English teachers. Especially, a teacher group from the United States, Thomasites was invited to immediately carry out high-quality English education and national Filipino teachers had normal education. It resulted that English was spoken more than Spanish in the rural area in five years. It is not a single area but a complex one why the United States introduced public education system toward the Philippine colony. Roughly, it can be described in three different ways: minimizing Spanish influence, helping pacification of the Philippine revolutionary, and training the Philippines for democracy and developing her into a civilized country. During the first part of colonial rule of the Philippine-American War after the defeat of Spain and the declaration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 first two goals were emphasized. These goals had largely been achieved successfully. But it is controversial if the purpose of realizing democracy and self-government were appropriate and accomplished, which was emphasiz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civil government. It was true that the dissemination of English and the spread of American education had been well received by the Filipinos and have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By pointing out, however, that the United States manipulated Filipinos with the self-governing capability into a barbaric image and it thoroughly repressed Filipino’s military and peaceful resistance, this article evaluates American democracy education as an Americanization education that spread American way of thinking and culture, and it was close to effective rhetoric to disguise the purpose of rationalizing colonization and moving to long-term colonial ru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