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Vol.25 No.5.jpg
KCI등재 학술저널

임상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

긍정심리자본, 임종간호스트레스, 환자-가족 중심 간호에 대한 인식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 임종간호스트레스와 환자-가족 중심 간호에 대한 인식이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G도 J시에 소재한 일개의 상급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총 임상경력 12개월 이상인 임종환자를 1회 이상 간호한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총 193명이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사후검증,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임종간호수행은 현부서 경력(F=3.60, p=.015), 근무부서(t=2.36, p=.019), 1년 이내 임종환자 간호제공횟수(F=2.76, p=.044), 환자-가족 중심 간호교육 경험(t=-2.26, p=.02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임상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단계별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심리자본(β=.38, p<.001), 환자-가족 중심 간호에 대한 인식(β=.23, p=.001), 근무부서(β=.15, p=.014), 환자-가족 중심 간호 교육경험(β=.14, p=.026)이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되었으며 전체 설명력은 29.0%로 나타났다(F=20.57, p<.001). 따라서 임종간호수행을 증진하기위해 임상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 환자-가족 중심 간호에 대한 인식 및 환자-가족 중심 간호교육경험을 높이는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linical nurs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erminal care stress and perception of patient-family centered care on performance of terminal care. Data were collected from 198 nurses,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linical nurses’ performance of terminal care and working experiences in current unit (F=3.60, p=.015), work unit (t=2.36, p=.019), number of terminal care provided to dying patients within 1 year (F=2.76, p=.044), and experience of patient-family centered care education (t=-2.26, p=.025). The factors affecting clinical nurse’s performance of terminal care wer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β=.38, p<.001), perception of patient-family centered care (β =.23, p=.001), work unit (β=.15, p=.014), and experience of patient-family centered care education (β=.14, p=.026), explaining 29.0% of the variance. Therefore, the effective education program is needed to enhance clinical nurs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s well as to increase their education experience and awareness of patient-family centered care in order to better perform terminal care.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