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Home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연구동향 분석 및 향후 연구방향 : 전문경영인연구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Analysis of Research Trend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 Focusing on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CEO and Management Studies

첫 페이지 보기
  • 발행기관
    한국전문경영인학회 바로가기
  • 간행물
    전문경영인연구 바로가기
  • 통권
    제26권 제1호 통권 제73호 (2023.04)바로가기
  • 페이지
    pp.1-18
  • 저자
    한가록, 이재은
  • 언어
    한국어(KOR)
  • URL
    https://www.earticle.net/Article/A430117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원문정보

초록

영어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 this study conducted a keyword network analysis of 911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CEO and Management Studies” from 1998 (Vol.1, No.1) to August 2022 (Vol.25, No.4), “In addition, a total of 911 papers published in ”Journal of CEO and Management Studies“ and 167 papers published within the last three years were compared to see how studies related to CEO and management are changing in line with recent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frequency and centrality of the keywords, the main implications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911 papers and 167 papers) were presented.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in that it examines research trends based on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CEO and Management Studies“ and presents the research direction of the ”Journal of CEO and Management Studies“ in the future.
한국어
본 연구는 전문경영인연구 제1권 제1호(1998년)부터 제25권 제4호(2022년 12월)까지 게 재된 논문 911편을 바탕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연구동향을 분석한다. 또한 최근 경영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전문경영인연구에 게재된 연구논문의 동향변화를 살펴보 기 위해 추가적으로 전체기간 동안의 논문(911편)과 최근 3년간 게재된 논문(167편)을 비교하였다. 전체기간 동안 게재된 연구를 대상으로 빈도분석을 수행한 결과 리더십, 조직몰입, 기업지배구조 등의 키워드가 주요한 키워드로 확인되었으며, 중심성분석 결과 리더십, 조직몰입, 신뢰가 주요한 키워드로 제시되었다. 최근 3년간 게재된 연구를 대상으 로 빈도분석한 결과 리더십, 혁신, 역량이 주요한 키워드로 제시되었으며, 중심성분석 결과 리더십, 고객만족, 자기효능감 등의 키워드가 주요한 키워드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전문경영인연구는 ESG, 디지털전환, 빅데이터 뿐만 아니라 인공지능, 스마트팩토리 등과 같은 다양한 주제 를 활용해 최신 트랜드를 반영한 연구를 게재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전문경영인연 구에 게재된 논문들은 인사조직 분야와 같이 경영학분야의 특정영역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경영학 분야별 균형적 발전을 위해 다양한 영역의 연구가 게재될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셋째, 경영학 세부영역별로 보더라도 전통적으로 많이 연구된 주제 외에 최근의 환경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주제를 연구한 논문들을 게재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향후 전문경영인연구의 연구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대상 논문수집
Ⅲ.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3.1 전체 논문을 대상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3.2 2020년부터 2022년까지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Ⅳ. 네트워크 분석결과 요약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한가록 [ Han Ga-Rog | 순천대학교 무역학전공 강사 ] 제1저자
  • 이재은 [ Lee Jae-Eun | 순천대학교 무역학전공 교수 ] 교신저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한국전문경영인학회 [Korea CEO Academy]
  • 설립연도
    1997
  • 분야
    사회과학>경영학
  • 소개
    국내외의 전문경영인에 관련된 학술연구와 이의 진흥과 보급을 목적으로 하며, 회원 상호간의 학술교류와 친목 도모, 유관기관 및 외국 학자와의 학술교류 촉진 등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간행물

  • 간행물명
    전문경영인연구 [Journal of CEO and Management Studies]
  • 간기
    계간
  • pISSN
    1226-8380
  • 수록기간
    1998~2024
  • 등재여부
    KCI 등재
  • 십진분류
    KDC 325 DDC 330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전문경영인연구 제26권 제1호 통권 제73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페이지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