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Home

대학 교양교육의 확장과 읽기 교육 방안
Organizing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and Basic Reading Education

첫 페이지 보기
  • 발행기관
    국제한인문학회 바로가기
  • 간행물
    국제한인문학연구 바로가기
  • 통권
    제36호 (2023.08)바로가기
  • 페이지
    pp.193-214
  • 저자
    고영진
  • 언어
    한국어(KOR)
  • URL
    https://www.earticle.net/Article/A434543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원문정보

초록

영어
Literacy is currently used in the educational field in a multi-layered and comprehensive sense that extends beyond the narrow scope of text decoding ability to digital reading beyond understanding vocabulary and the basis for background knowledge. Literacy has drawn attention because digital-based communication has increased rapidly in the educational field since the pandemic, making learners’ desultory-reading and misreading a decisive factor hindering learning. In order to actually proceed with this discussion, it is necessary to closely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s “learners” as “readers.” They have abundant experience in digital devices equipped with networks, are familiar with reading entrance examination patterns with limited purposes, and at the same time lack experience in selecting or configuring their own objects to read. However, considering that a university is a learning space for reading, which leads to a new way of thinking, various methodologies, and the power to think about their possibilities, it is necessary to seek practical solutions. This paper attempts to approach university reading education by dividing it into a plan to utilize liberal arts curriculum and a plan to use basic communication courses. First of all, the ways to use liberal arts education to raise continuous problems include the establishment of a subject specializing in reading education, the formation of a consultative body between major and liberal arts courses on reading education, and the operation of comparative programs. Next, the ways to use basic communication subjects include visually distributing reading education to common lectures, expanding professional reading materials for reading education, practical education on digital literacy, and structural variations in common lectures. The expansion of reading education using liberal arts education can present a methodology for learning readers who are familiar with digital viewing to recognize and correct the problems of their own reading.
한국어
현재 교육 현장에서 문해력이란, 문자해독의 좁은 범주에서 벗어나 디지털 영역을 포함하는 다층적이고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문해력이 주목받 은 이유는 팬데믹 이후 디지털 기반의 의사소통이 급격하게 늘면서 학습자들의 난독과 오독들이 학습을 저해하는 결정적인 요소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이 논의를 실질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대학의 ‘학습자’들이 ‘독자’로서 어떤 특 징을 가지고 있는지를 면밀하게 살필 필요가 있다. 이들은 네트워크가 탑재된 디지털 기기에 대한 경험이 풍부하고, 한정된 목적을 가진 입시 패턴의 읽기에 익숙하며 동시에 읽을 대상을 스스로 선택하거나 구성해 본 경험이 부족한 독 자들이다. 하지만 대학이 새로운 사고 방식과 다양한 방법론에 대한 가능성을 사유하는 읽기를 진행하는 학습 공간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이에 대한 실질적 인 해결 방안이 필요하다. 본고는 읽기 교육을 대학 교양과목 편성을 활용하는 방안과 기초 의사소통 교과목을 활용하는 방안으로 나누어 접근해 보고자 한 다. 우선, 지속적인 문제제기 차원에서 교양교육 편성을 활용하는 방안에는 읽 기 교육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교과목의 신설, 읽기 교육에 관한 전공교과와 교 양교과의 협의체 구성, 다양한 교과와의 융복합 구성과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등의 방법이 있다. 다음으로 기초 의사소통 교과목을 활용하는 방안에는 공통 강의안에 읽기 교육을 가시적으로 배당, 읽기 교육을 위한 전문적인 읽기 자료 의 확충, 디지털 문해력에 관한 실질적 교육, 공통 강의안의 구성적 변주 등을 들 수 있다. 교양교육을 활용한 읽기 교육의 확장은 현재의 학습 독자들에게 스스로 자신 의 읽기가 가진 문제점을 인식하고 수정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문제 제기
2. 독자로서의 대학 학습자의 특성
3. 읽기 교육의 확장과 실제
1) 대학 교양교육 편성 활용 방안
2) 기초 의사소통 교과목 활용 방안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고영진 [ Go, Young-Jin | 강원대학교 삼척교양교육센터 강사 ]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국제한인문학회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Literature of Korean Residents Abroad]
  • 설립연도
    2002
  • 분야
    인문학>한국어와문학
  • 소개
    본회는 재외 한인들의 문학에 대한 조사와연구 및 연구 결과의 보급을 통하여 한국 문학의 정체성 확립 및 세계 문학과의 교류를 목적으로 한다.

간행물

  • 간행물명
    국제한인문학연구 [The Journal for Oversea Korean Literature]
  • 간기
    연3회
  • pISSN
    1738-4249
  • eISSN
    2671-9894
  • 수록기간
    2004~2024
  • 등재여부
    KCI 등재
  • 십진분류
    KDC 810 DDC 895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국제한인문학연구 제36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페이지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