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88.73
18.191.88.73
close menu
3D 프린터를 활용한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실물모형 제작
Creating a Full-sized Model of Stupa of the State Preceptor Jigwang from the Beopcheonsaji Temple Site in Wonju Using a 3D Printer
이태종 ( Tae Jong Lee ) , 권병학 ( Byunghak Kwon )
DOI 10.37563/SECH.15.1.9
UCI I410-ECN-0102-2022-900-000413037

지광국사탑 실물모형 제작은 기존의 모르타르 복원부재 제거 후 결실부분 신석복원 시참고가 될 수 있는 기준 정보, 중요 도상과 문양의 체적을 파악할 수 있는 형상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시작하였다. 해당 모형의 제작 범위는 부재 1/3이상 파손·결실된 옥개석 이상 상륜부재로 보주, 보개, 보륜, 앙화, 옥개석 총 5개 부재이다. 디지털자료기반 모형제작 과정을 살펴보면 기존의 모형제작 과정과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기존 모형제작과정은 대상에 대한 스케치를 수행하고 그 대상에 대한 모형 틀을(석고 및 실리콘) 만들게 된다. 이때 모형틀 제작에서 작업자의 개인차가 발생하는데 숙련도 및 대상문화재 정보, 작업자의 주관적 생각이 모형틀 조각에 반영된다. 지광국사탑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정확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모형이 제작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 방식의 모형제작은 모형틀 작업이나 조각이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결과물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디지털 자료 기반의 모형제작은 디지털자료의 정확한 수치정보를 기반으로 3D 프린팅하기 때문에 주관적인 정보는 배제되고, 더욱 정밀하고 객관적 정보에 기반을 두는 사실 구현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The production of the full-sized model of stupa of the state preceptor jigwang was started to obtain standard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as a reference when restoring the new stone in the fruited part after removing the existing mortar restoration member, and shape information that can grasp the volume of important icon and patterns. The production range of this model is a total of five members, including mound, bogae(baldachin), boryun, anghwa, and roof stone, as upper ring members with more than 1/3 of the members damaged or lost. Looking at the digital data-based modeling process,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existing modeling process. In the existing modeling process, a sketch is performed on an object and a model frame (lime and silicon) is created for the object. At this time, there is individual difference between the workers in the production of the model frame, and the skill level, information on the target cultural property, and the subjective thought of the worker are added to the model frame sculpture. The most important part in making stupa of the state preceptor jigwang is that the corresponding model must be produced based on accurate information.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modeling, there may be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model frame work or sculpture depending on the skill level of the worker. However, since digital data-based modeling is 3D printed based on accurate numerical information of digital data, subjective information is excluded, and the fact that it is based on more precise and objective information is possible.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 론
사 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