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초등 역사교육에서‘인물교재’로의 선정 가능성 검토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논문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는 3·1운동과 관련하여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역사적 조명을 받지 못한 정재용(1886 ~ 1976)이라는 인물을 발굴하여 역사적으로 고찰함으로써 3·1운동 관련 역사학 연구의 지평을 넓히는 것이다. 둘째는 3·1운동 독립선언서 낭독자 정재용의 역사적 행위들이 초등 역사 교육에서‘인물교재’로 활용 가능한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전자를 위해 3·1운동 당시 정재용의‘독립선언서 낭독’행위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물음과 연관될 때 그의 역사적 의미를 고찰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어떤 인물들이 민족대표와 민중 사이를 연결해주는 중간매개자 역할을 했는가? 둘째, 3·1운동 준비기간 중 중앙과 지역을 연결하여 전국적 단위로 만세운동을 확산시키는데 어떠한 인물들이 역할을 하였는가? 셋째, 민족대표 33인을 어떻게 구체적으로 섭외하여 구성하였는가? 이 세 가지의 질문에 답을 제공해줄 수 있는 인물이 정재용이라는 것을 고찰함으로써 기존 역사학 연구의 누락된 부분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후자의 경우에는 일반인 정재용의 역사적 실천이 갖는 교육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정재용은 역사학적으로 널리 기억되는 위인이나 영웅적 인물이 아니라 근대 일반적인 중산층 시민으로서 근대적 지식과 가치를 습득하고 이를 실천한 인물이었다. 이러한 그의 삶과 실천이 갖는 역사교육적 의의를 고찰하여 인물교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초등사회과 목표인‘시민적 자질 육성’에 부합되는 인물로서도 정재용을 상정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후속적으로 진행 될 정재용을 역사적 인물로 교재화하기 위한 연구의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First, is to excavate Jung Jae Yong, a historical figure that played a key role in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but has not been recognized in historical circles for expanding horizons of research on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Second, by examining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life of Jung Jae Yong we determine if it can be used as a ‘historical figure textbook’. Jung Jae Yong is historically significant for the following four reasons. First, reading of the independence declaration by Jung Jae Yong during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fueled the Mansei movement. Second, which individual played the link between national representatives and the populace? Third, during the preparation of the March 1 movement which individuals linked the capital and provinces and transformed the Mansei movement into a nationwide movement? Fourth, how were 33 national representatives selected and organized? Jung Jae Yong can provide an answer to three of these questions. Meanwhile, to achieve the second objective, emphasis was placed on Jung Jae Yong, the individual. Jung Jae Yong is not a historically famous figure or a heroic figure. Individuals referenced in textbooks are highly respected but it is difficult to live as they did. Rather, the actions of Jung Jae Yong can be persuasively accepted by students. This is the historical educational significance of Jung Jae Yong that can be used as a ‘historical figure textbook’. This coincides with the objective of social education which is to create a ‘desirable citizen’.

목차

요약
Ⅰ. 문제의식
Ⅱ. 3·1운동 관련 ‘인물 연구’의 성과와 정재용
Ⅲ. ‘정재용’의 성장 과정과 기독교 신앙의 실천
Ⅳ. 정재용의 3·1운동에서의 활동과역사교육적 의의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374-001359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