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충주 고구려비의 판독은 지금까지 주로 탁본을 이용하여 진행되었다. 현재 시점에서 선행 판독 결과의 가치를 높이고, 미판독 글자를 객관적으로 재검토하기 위해서는 3차원 스캐닝 기반의 디지털 영상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충주 고구려비 비문의 글자와 형상학적 특징을 가시화할 수 있는 다양한 디지털 영상분석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고구려비의 디지털기록화에 적용된 3차원 스캐닝 기술은 총 5종류이다. 특히 비문 판독에 활용된 고정밀스캐닝 결과는 평균 0.05∼0.12㎜의 고해상도 점간격을 나타냈다. 이러한 스캐닝 모델을 기반으로 개별 글자의 디지털 판독을 위해 비사실적 가시화 렌더링과 기하정보 매핑기술을 적용하였다. 이 결과, 글자의 음각 깊이, 경계 및 필획이 드러났고, 비문의 배열특징 등 제작기법을 이해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전통적 판독방법과 선행 결과를 개선하는데 큰 기여를 하였고, 디지털 판독의 필요성을 인식시키는데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충주 고구려비 비문 판독에 대한 최종 합의는 다학제간 융합연구를 통해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인문학자와 과학자들의 지속적인 공동연구와 공론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Previous efforts to decipher the Goguryeo Stele in Chungju were performed through manual rubbing. To objectively reexamine and improve upon these earlier efforts, it is necessary to apply digital imaging analysis based on three-dimensional scanning.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suggests various methodologies of digital imaging analysis that can be used to visualize the features of the characters and shapes of inscriptions on the Goguryeo Stele. Five kinds of three-dimensional scanning technologies were applied to produce digital documentation. In particular, the precision scanning results used for decipherment achieved a high-resolution point density of 0.05–0.12 mm. Non-realistic rendering and geometric mapping technologies were utilized for the digital decipherment of each character based on the scanning model. As a result, engraving depths, boundaries, and character strokes were clarified, and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like how to arrange characters were identified. This study makes a significant contribution by improving upon the traditional decipherment method and previous results and represents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establishing the necessity of digital decipherment. It concludes that continuous cooperation and public discussion between humanities scholars and scientists is required because a final consensus on the decipherment of the Goguryeo Stele can only be achieved through the convergence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목차

국문초록
I. 서언
II. 현황
III. 금석문 판독에 적용되는 조사 방법
IV. 3차원 모델링 및 디지털기록화
V. 비문 디지털 가시화
VI. 비문 디지털 형상분석
VII. 고찰 및 결언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35)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911-0008457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