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진한 12국은 辰王에게 속해 있었고, 변진 12국에도 별도의 왕이 있었다고 한 것으로 보아, 변진과 진한은 정치적 통속 관계에 의해 구분된 사회임을 알 수 있다. 김해 구야국은 중국군현과 왜를 연결하는 해상교역체계를 이용해 대국으로 성장하였다. 3세기 초 구야국은 포상 8국의 침공을 극복하고 함안의 안야국보다 우위에 있는 변진 12국을 대표한 왕으로 대두하였다.
하지만 3세기 중엽 이후 낙랑군-예맥-진한을 중심으로 한 육상교역체계가 부활되면서, 대방군을 중심으로 한 해상교역체계에 속해 있던 구야국은 피해를 보게 되었다. 3세기말의 상황을 전하는 『진서』 동이전에서 변진이 따로 보이지 않고, 변진 12국이 진한에 속해 있다고 한 것도 이러한 변화상을 보여준다.
3세기말 이후 구야국은 중국과의 교섭대신 왜국과의 양자교역을 더욱 활성화시키면서 새로운 교역체계를 주도하였다. 김해지역 대형 목곽묘에서 출토된 외래(북방계·왜계) 유물을 통해, 구야국을 매개로 북방의 고구려(동예) 및 신라와 열도의 왜가 연결된 교역체계가 존재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3세기말 이후에도 구야국은 대륙과 열도를 잇는 교역항을 가진 초기국가로 지속 성장해, 가야의 종주국(임나가라)으로 발전했던 것이다.

Around 280 AD, the lord of Mahan(or King of Mahan) and the king of Chinhan sent envoys to Western Jin(西晉). Since Sanguozhi was compiled around this period, it is likely that Western Jin realized Mahan and Chinhan as local body politics of Han. Considering the record that 12 countries of Pyŏnhan had a king, Pyŏnjin might be appreciated by China as a group of the local powers with a king as a central figure as well.
A big country generally had seven times population than a small country in Pyŏnjin, and Chief(巨帥) class was differentiated into five levels from Sinji(臣智) to Ŭpch’a(邑借). This phenomenon of differentiation indicates that the society of Pyŏnjin had a pluralistic structure, which had a group of small countries with a big country as a center. This type of structure, which can be identified as an early state, would be spread in each region. With its geopolitic advantage as a central port city on the marine routes in the third century and exportation of iron to Han, Ye(濊), Wa(倭), Lelang(樂浪) and Daifang(帶方) Prefectures, Kuya could be developed into a port city state.
Although the marine trade of Kuya was threatened by the Eight P’osang Countries(蒲上八國), Kuya could overcome this challenge and develop into the central power(a king) of Pyŏnjin. Yet, when the trade route to connect the Lelang Prefecture and Chinhan(辰韓) flourished after the battle of Kiriyŏng in 246, the marine trade that Kuya and Daifang Prefecture played the major roles was beginning to decline. As a result, Kuya concentrated more on the trade with Wa, rather than the Chinese prefectures. The phenomenon that the Wa relics after the late third century are being concentrically excavated in the Kimhae region indicates the growth of the trade between these two regions during this period.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弁辰과 辰韓의 구분
Ⅲ. 弁辰의 大·小國과 거수층의 분화
Ⅳ. 狗邪國의 성장과 해상교역체계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47)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