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글은 신라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비석인 울진 봉평리 신라비, 포항의 냉수리 신라비와 중성리 신라비의 연구 성과를 본격적으로 논의하기에 앞서 이 비석들이 발견된 포항과 울진 지역의 고고학적 성과를 짚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 3개 비석들은 5~6세기 신라 지방에서 발생한 사건 또는 갈등에 신라 중앙이 개입하여 이를 해결한 기록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신라고고학에서는 4~6세기, 경주와 그 외 영남지방에서 보이는 물질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을 주로 신라 중앙의 영역 확장 과정과 지방 지배 방식의 변화로 설명하고 있다. 신라 중앙의 물질문화는 묘제(신라식목곽묘 → 적석목곽분 → 횡혈식석실분), 신라토기, 금공품 등으로 대표되는데 이것이 지방에서는 출현 또는 확산, 소멸되기도 하는 것이다. 이에 여기서는 발굴조사된 4~6세기 포항과 울진 지역의 묘제와 그 출토품을 대상으로 중앙과 지방 간의 관계를 규명해 온 기왕의 고고학적 연구 성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해 보았다.
포항 지역에서는 3세기대부터 신라 중앙인 경주와 유사한 무기류가 다량 부장되지만 5세기대에는 다른 지역과는 달리 고총이 조성되지 않는다. 이는 5세기대에 중앙의 영향력이 직접 지배에 가까울 정도로 컸음을 반영한다 하겠다. 그러나 6세기에는 오히려 대형의 횡혈식석실묘가 축조되고 심엽형의 세환이식, 유리제 목걸이 등 신라 위세품이 부장된다. 이 시기까지도 포항은 여전히 중앙에서 관심을 기울인 지역임을 알 수 있다.
울진 지역에서는 읍남리나 덕천리에 고총을 조성하고 위세품을 부장하는 등 신라 중앙의 관심이 컸던 곳임은 분명하다. 경주로부터 상대적으로 원거리에 위치하는 울진 지역은 5세기 이후에야 신라의 간접지배를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덕천리고분군에서 수장급 피장자임을 드러내는 금동관 편이 5세기 말부터 7세기 후엽까지 3차례에 걸쳐서 부장된 점, 읍남리고분군에서 금동 삼엽환두대도 장식과 함께 황남대총 북분 출토품과 유사한 금동 태환이식이 부장된 점을 통해 방증된다.
4~6세기 포항, 울진 지역은 신라와 고구려와의 대치 관계 속에서 지리적으로 신라 중앙에서 중시하였던 지역임에는 틀림없다. 중앙의 지배방식은 포항에서는 중앙의 영향력이 강한 직접 지배, 울진에서는 상대적으로 중앙의 영향력이 약한 간접지배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rcheological results of Pohang and Uljin areas before discussing the research results of Silla steles found in Bongpyeong-ri, Uljin and in Naengsu-ri and Jungseong-ri, Pohang, which are important monuments for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Silla. What these three monuments have in common is that they are records indicating how the central Silla intervened and resolved incidents or conflicts that occurred in the provincial Silla during the 5th and the 6th centuries of the Silla Kingdom.
Archeological literature of Silla explai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material culture between Gyeongju and other Yeongnam provinces in the 4th to the 6th centuries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 and the province and mainly as the process of territorial expansion and change in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province. This is grounded in the phenomena of representative material culture of Silla such as the burial system (Silla-style wooden coffin tomb → tomb with wooden coffin covered with stone → corridor- style stone chamber tomb), pottery and gilt bronzed artifacts appearing and disappearing or proliferating in the provinces. Accordingly, this study summarizes the results of existing archaeological studies that men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 and provincial Silla in reference to the 4th to the 6th centuries tombs in Pohang and Uljin areas and their artifacts that have been excavated and investigated.
In the Pohang area, a lot of weapons similar to those found in Gyeongju, the center of Silla, were buried along with the body from the 3rd century. However, unlike other regions, huge mound tombs were not built in Pohang in the 5th century. This is probably because the influence the central Silla exerted over the provincial Silla in the 5th century was close to direct control. While the corridor-style stone chamber tomb from the 6th century in this area is large and shows elements different from that in the central Silla, it is believed that Pohang was considered important even during this period, because Silla grave goods such as glass necklaces and leaf-shaped hoop earrings were buried along with the body.
In the Uljin area, huge mound tombs were built in Eupnam-ri and Deokcheon-ri and grave goods were buried along with the body, indicating that these areas were places of interest for the central Silla. Uljin, which is relatively far from Gyeongju, seems to have been indirectly controlled by the central Silla only after the 5th century. This is evidenced by the inscription on the stele, which refers to the royal family of Silla directly intervening and punishing the people involved in an incident in Uljin, as well as the artifacts found in tombs such as the gilt bronzed crowns buried three times from the 5th to the 7th centuries in the Deokcheon-ri tombs and the gilt bronzed hoop earrings and Silla-style gilt bronzed ring pommel sword decorated with three leaves buried in the Eupnam-ri tombs. The artifacts found in Eupnam-ri tombs, in particular, are similar to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north mound of Gyeungju Hwangnam Daechong (grand mound tomb).
Based on the archeological evidences, it is surmised that Pohang and Uljin were geographically important areas for the central Silla from the 4th to the 6th centuries considering the confrontational relation between Silla and Goguryeo at the time. It is also presumed that the method of control over the provinces opted by the central Silla differed for Pohang and Uljin: with control over Pohang more direct, while control over Uljin more indirect.

목차

국문 초록
Ⅰ. 머리말
Ⅱ. 4~6세기 포항의 고분 문화
Ⅲ. 4~6세기 울진의 고분 문화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16)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