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35.63
3.149.235.63
close menu
KCI 등재
최적자본구조와 산업별 자본구조 조정속도 추정
Optimal Capital Structure and Estimation of the Adjustment Speed of Capital Structure by Industry
김수진 ( Su Jin Kim ) , 김현석 ( Hyun Sok Kim )
재정정책논집 21권 2호 127-148(22pages)
UCI I410-ECN-0102-2019-300-001108194

본 연구는 국내 외부감사대상기업 중 제조업을 중심으로 최적자본구조에 대한 산업별 자본구조 조정속도를 추정한다. 13개 산업군에 대해 각 부문별 자본구조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전기의 부채비율 계수 값이 금기 부채비율 값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전기의 부채비율이 금기의 부채비율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분석 대상에 포함된 대부분의 산업군이 자본구조를 합리적으로 조정하고 있으며 조정속도는 산업별로 편차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조정속도가 느린 산업은 펄프 부문으로 1년에 60%가량을 조정한다. 반면 섬유 부문은 가장 조정속도가 빠른 산업으로써 1년에 약 94%를 조정하여 목표부채비율에 도달하기까지 약 1년 1개월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stimates the adjustment speed to optimal capital structure by industry.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debt ratio of the previous period in most industrie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urrent debt ratio. This shows that the debt ratio in the previous period is affecting the debt ratio in the current period. Most of the industries included in the analysis were found to reasonably adjust the capital structure. The difference in adjustment speed between industries is not so large. The industry with the slowest adjustment speed is the pulp industry, which adjusts about 60 percent a year. On the other hand, the textile industry is the fastest-adjusting industry, which takes about a year and a month to reach the target debt ratio. When the optimal ratio is calculated by dividing under and over-leveraged, most industries are adjusting their debt ratios according to the situation.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모형설정 및 표본선정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