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토정 이지함의 유통경제관과 그 영향

LEE Ji-ham's Thoughts on Distribution Economy and its Effect

해운물류연구
약어 : JSL
2010 vol.26, no.3, pp.633 - 649
DOI : 10.37059/tjosal.2010.26.3.633
발행기관 : 한국해운물류학회
연구분야 : 해상운송학
Copyright © 한국해운물류학회
95 회 열람

조선 선조대 유학자이자 유일처사(遺逸處士)인 토정(土亭) 이지함(李之函)은 북학론의 원조라 평가될만큼 스스로 상인이 되어 유통경제에 참여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이른바 말업인 어업과 염업, 광업 등을 통해 민생 안정과 국부 증진을 꾀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유통경제사상의 시조라 할 수 있는 토정 이지함의 삶과, 유통경제사상, 그리고 그의 유통경제사상이 당대 및 후대의 학자들에게 미친 영향을 정리해 보았다. 이지함은 당대를 위기의 시대로 인식하고, 그 타개책으로서 백가지 재용(財用)의 보고인 물과 바다를 활용하여 고기를 잡고, 소금을 굽고, 나무를 심고, 옥을 채굴할 것을 주장했다. 이러한 그의 주장은 사농공상의 엄격한 신분제적 계서제와 농업 중심인 조선 시대에 독특함을 넘는 파격적인 것이었다. 그의 주장이 특히 의미가 있었던 것은 공허한 구호에 그친 것이 아니라 그것을 몸소 실천했다는 점이다. 농업이 아닌 어업과 염업, 수운업, 광업 등을 통해 민생 안정과 국부 증진을 꾀했다는 점에서 그의 주장은 당대의 이산해와 김신국은 물론 후대 북학론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TOJUNG is a literary name of LEE Ji-ham who lived from 1517 to 1578 in Chosun Dynasty. He was falsely known as the author of Tojung Bigyeol, but he was a very unique Confucius scholar who engaged in business such as fishing, saltpan, and water transportation as a Yangban(gentleman). In his days, it was very rare for a Yangban to work on commerce except learning Confucius Philosophy. After death of his parent and collapse of his wife's family, he had to employ himself on business such as fishing and saltpan for keeping up his own family and his wife's family. By having experienced these he could take a shape of his ideas on giving an importance on fishing and saltpan, mining, water transportation. At that times the agriculture wa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industry in Chosun Dynasty. LEE Ji-ham considered his age as the crisis and presented the strategy for overcoming the crisis. He asserted that even the Yangban had to engage in business and government had to inspire the people for making their own living by doing fishing, saltpan, manufacturing and water transportation. His ideas was formed not just by idealism but by combination of his own experience and thoughts. His ideas might give an effect to those of scholars such as KIM Shin-kuk, LEE San-hae, YOU Su-won, and PAK Je-gha and etc. In this context we can say that LEE Ji-ham was the origin of Bukhakron which placed emphasis on distribution, manufacturing and commerce as a kind of pragmatical Confucius Philosophy.

토정 이지함, 유통경제, 북학론, 박제가
Tojung, LEE Ji-ham, Distribution Economy, BAK Je-gha, Silhak

  • 1. [단행본] 박제가 / 2003 / 北學議 / 돌베개
  • 2. [단행본] 유몽인 / 2004 / 於于野談 in 역옹패설 / 신원문화사
  • 3. [단행본] 유수원 / 迂書 / 민족문화추진회
  • 4. [인터넷자료] / 선조수정실록
  • 5. [인터넷자료] 이이 / 石潭日記 in 한국고전종합DB
  • 6. [인터넷자료] 이지함 / 土亭遺稿 in 한국고전종합DB
  • 7. [단행본] 한국철학사상연구회 / 1989 / 철학대사전 / 동녘
  • 8. [학술대회] 강성조 / 1983 / 토정 이지함 연구 / 인천대학 논문집 : 5 ~
  • 9. [학술지] 권인호 / 1998 / 토정 이지함의 출처의리와 실학사상연구 / 한중철학 / 4 : 120 ~
  • 10. [학술지] 김성준 / 2009 / 이중환의 擇里志에 나타난 물류관 / 해운물류연구 / 25 (1) : 167 ~ 1 kci
  • 11. [학술지] 김성준 / 2003 / 楚亭 朴齊家의 流通通商論 硏究 / 해운물류연구 / 39 : 1 ~ kci
  • 12. [학술지] 김용덕 / 1977 / 토정의 산업개발론 / 조선후기사상사연구 : 561 ~
  • 13. [단행본] 김용덕 / 1984 / 이지함의 경제사상 in 한국의 사상 / 열음사 : 213 ~
  • 14. [학위논문] 박상명 / 2003 / 토정 이지함의 경제사상 연구
  • 15. [학술지] 신병주 / 2005 / 이지함, 기인인가, 사회경제사상가인가?」 / 선비문화 (5) : 14 ~ 5
  • 16. [단행본] 신병주 / 2008 / 토정 이지함 평전 / 글항아리
  • 17. [학위논문] 이석엽 / 1989 / 토정 이지함의 경제사상에 관한 연구
  • 18. [학위논문] 윤대현 / 1992 / 토정의 사회개혁사상 연구
  • 19. [학술지] 정구선 / 2003 / 조선 전기 유일지사의 삶에 대한 일고찰 / 경주사학 / 22 : 167 ~
  • 20. [학술지] 최운식 / 2007 / 토정 이지함 설화 연구 / 한국민속학 / 33 : 299 ~
  • 21. [학술지] 황광욱 / 2006 / 土亭 李之?의 人間觀과 道德的 經濟論에 관한 小考 / 한국철학논집 / 19 (19) : 205 ~ 19 kc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