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9.157.247
18.119.157.247
close menu
KCI 등재
자본시장법상 불공정거래 규제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 및 제언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중심으로 -
Comparative Legal Review and Suggestions on the Regulation of Unfair Trading under the Capital Markets Act - Focused on Amendment to the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 -
이민재 ( Lee Min-jae ) , 윤자영 ( Yoon Ja-young ) , 구진모 ( Gu Jin-mo ) , 한희준 ( Han Hee-jun )
고려법학 111권 391-442(52pages)
DOI 10.36532/kulri.2023.111.391
UCI I410-ECN-151-24-02-089101319

자본시장법상 불공정거래행위는 자본시장의 질서를 훼손하고 다수의 선량한 투자자에게 피해를 발생시키는 중대한 위법행위로서 엄격하게 규제되어야 한다. 그런데 최근 ‘SG 증권 폭락 사태’, ‘국민은행 직원 127억 시세차익 사건’과 같은 불공정거래 사례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제재도 미흡한 상황이다. 그동안 불공정거래행위를 처벌하기 위해서는 검사의 엄격한 입증책임이 요구되어 기소율이 낮고, 유죄가 확정되는 경우에도 부당이득액의 산정이 어려워 집행유예 선고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형사절차는 긴 시간이 소요되어 규제의 적시성이 상당히 부족하나, 시장질서 교란행위 외에는 과징금을 부과할 수 없어 실효적인 제재가 이루어지지 않아 왔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고자, 2023년 6월 30일 부당이득 산정방식을 명문화하고, 3대 불공정거래에도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게 하며, 자진신고자 등의 형을 감면할 수 있게 한「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의안번호 2122985)이 국회에서 가결되어 2024년 1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해당 개정안은 불공정거래 전반에 과징금을 도입하여 미국, 일본, 영국 등 해외 주요국의 규제체계와 궤를 같이한다는 점과 부당이득 산정방식을 명문화하여 인과관계 입증 가능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개정안은 여전히 적발 확률을 높게 상정하여 과징금 상한을 적절하게 설정하지 못했고, 위반행위자가 얻은 이익 또는 회피한 손실액이 없거나 산정하기 곤란한 경우에도 상한을 40억으로 정한 점은 비례의 원칙에 위배될 소지가 있다. 또한, 판례의 입장에 따른 ‘위반행위와 관련된 거래’가 아닌 ‘위반행위를 통하여 이루어진 거래’로 명시한 점은 부당이득의 범위를 불필요하게 좁힐 수 있다. 또한, 개정안은 다양한 행정제재 및 피해자 구제제도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미국은 민사제재금, 부당이득 환수와 같은 금전적 제재 수단과 함께 금지명령, 중지명령, 영업 제한 및 임원선임 제한 등의 비금전적 제재 수단을 복합적으로 활용하며, 화해 제도를 통해 신속하고 효율적인 제재를 도모하고, FAIR Fund를 운영하여 피해자의 손해를 직접 회복시키고 있다. 일본은 형사제재보다 행정제재를 주요한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조사부서를 세분화하여 제재의 효율성을 도모하고 있다. 영국 등 유럽 주요국도 과징금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자산동결 조치를 비롯한 다양한 행정제재 수단을 통해 제재의 실효성과 집행력을 확보하고 있다. 본고는 이와 같은 외국 법제 비교 검토 및 가결된 개정안 검토를 통해 구체적인 개선안을 제언하였다. 부당이득 산정방식의 문언을 수정하고, 자본시장조사 업무규정의 불필요한 제한을 삭제하며, 제3자에게 귀속된 이득 또한 위반행위자의 부당이득에 포함하도록 하고, 과징금 상한을 적발 확률과 비례의 원칙에 맞게 수정하며, 형사제재와 행정제재의 병과에 있어 이중처벌의 가능성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금융당국에 자산동결 조치, 영업 제한 및 임원선임 제한 조치와 같은 다양한 행정제재 수단을 부여하고, 미국의 화해 제도를 참고한 동의의결제를 확대 도입하며, 미국의 FAIR Fund를 참고한 피해자 구제제도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특히, 단순히 도입해야 한다는 수준에서 그치지 않고 구체적이고 독창적인 자본시장법 개정안을 다수 제안함으로써 연구의 활용 가치를 제고하고자 하였다.

Unfair trading in terms of Capital Markets Act should be strictly regulated as they undermine the order of the market and cause significant harm to numerous innocent investors. However, recent cases of unfair trading, such as the ‘SG Securities crash incident' and the ‘KB Bank employee's 12.7 billion won speculative profit case,' continue to occur with inadequate sanctions in place. Until now, strict burden of proof on prosecutors to penalize Unfair trading has led to low prosecution rates. Even when a guilty verdict is reached, many cases resulted in probationary sentences due to the difficulty in calculating the amount of profit gained or loss avoided. Furthermore, as fines can only be imposed for market abuse conduct despite the considerable lack of timeliness in regulation due to prolonged criminal procedures, effective sanctions have not been implemented. To compensate for these limitations, on June 30, 2023, the 「Partial Amendment Bill for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Bill No. 2122985), which clarifies the method of calculating profit gained or loss avoided, allows fines to be imposed on the three types of unfair trading, and reduces the sentences of voluntary reporters, was passed by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will be implemented in January 2024. The amendment is favorable in that it introduces financial penalty for all unfair transactions, which is in line with the regulatory systems of major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Japan, and the United Kingdom, and clarifies the method of calculating profit gained or loss avoided, which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proving causation. However, the amendment still fails to set the upper limit of the penalty appropriately by assuming a high probability of detection, and it may violate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by setting the upper limit at 4 billion won even if the amount of profit or loss avoided by the violator does not exist or is difficult to calculate. Furthermore, the definition of profit gained or loss avoided as “transactions made through the offense" instead of "transactions related to the offense" as used in case law may unnecessarily narrow the scope of profit gained or loss avoided. Additionally, the amendment lacks consideration for various administrative sanctions and victim relief systems. The United States utilizes a combination of monetary sanctions, such as civil penalties and disgorgement of profit gained or loss avoided, and non-monetary sanctions, such as injunctions, cease and desist orders, bars and suspensions. The U.S. also utilizes a settlement system to ensure swift and efficient sanctions and a FAIR Fund to directly recover damages from victims. Japan utilizes administrative sanctions more than criminal sanctions, and has a specialized investigative division to ensure the efficiency of sanctions. Major European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Kingdom, actively utilize financial penalty system and various administrative measures like asset freezing to ensure the effectiveness and enforcement of sanctions. This paper has compared foreign legal systems and reviewed approved amendment to suggest specific improvements. These include revising the wording related to profit gained or loss avoided calculation method, removing unnecessary restrictions in the Capital Market Investigation Practice Regulations, inclusion of gains belonging to third parties as profit gained or loss avoided of the offender, revising the upper limit of financial penalty based on the probability of detection and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and avoiding the possibility of double punishment in the application of criminal and administrative sanctions. In addition, It also proposes to provide financial authorities with a range of administrative sanctions, such as asset freezes, bars and suspensions, expand the use of consent order modeled after the U.S. settlement system, and establish a victim relief system modeled after the U.S. FAIR Fund. In particular, it sought to enhance the value of the study by proposing a number of specific and original amendments to the Capital Markets Act, rather than simply recommending their introduction.

Ⅰ. 서론
Ⅱ. 자본시장법상 불공정거래 규제의 일반
Ⅲ. 외국의 법제 비교 검토
Ⅳ.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한 검토
Ⅴ. 효과적인 불공정거래 규제를 위한 개선안
Ⅵ.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