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6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서 개인들이 어떤 방식으로 시청행위를 조직해 나가고 있는가에 관심을 두고 몰아보기를 다차원적으로 구성되는 행위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에 몰아보기를 빈도, 계획적 몰아보기, 비선형적 몰아보기를 포함하는 다차원적인 행위로 규정하고 복합시간성과 감각추구성향이 몰아보기의 다양한 차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이들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관계가 드라마의 장르 속성에 의해 변화될 것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몰아보기 경험이 있는 미디어 이용자 2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다음의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복합시간성은 계획적 몰아보기와 비선형적 몰아보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복합시간성이 높을수록 계획적 몰아보기와 비선형적 몰아보기가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감각추구성향은 계획적 몰아보기에 한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범죄/스릴러 장르는 감각추구성향이 비선형적 몰아보기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였다. 감각추구성향이 높고 범죄/스릴러 장르에 대한 시청 정도가 높을 때 비선형적 몰아보기가 가장 많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몰아보기 현상이 개인의 시간 활용 방식과 미디어 이용에 대한 쾌락적 차원으로 설명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was focused on how individuals are organizing their watching activities in the new media environment, and wanted to understand the binge-watching as a multidimensional activity.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impact of polychromic-monochronic tendency and sensation seeking on binge-watching which was defined as a multidimensional behavior including frequency, planned binge watching and nonlinear binge watching. In addition, we examined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will be changed by the attribute of the drama genre.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207 media users who had experience in binge watching and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polychronic-monochronic tendency was affecting the planned binge watching and nonlinear binge watching.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composite time, the higher the planned and nonlinear watching. Second, the sensation seeking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ly on planned binge watching among the multidimensional binge watching. Third, crime/thriller genre controlled the effect of sensation seeking on nonlinear bingo watching. It can be seen that the nonlinear binge watching is the most common when there is a high sensation seeking tendency and a high level of watching for crime/thriller genres. Such findings suggest that the phenomenon of binge watching can be explained by the way individuals use their time and the hedonistic dimension of media use.

목차

요약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이론적 논의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72)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