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8.30.118
18.218.30.118
close menu
KCI 등재
공급망 내 갈등관리전략이 파트너십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Within Supply Chain on Partnership and Performance
함윤희 ( Yoon-hee Ham ) , 송상화 ( Sang-hwa Song )
중소기업연구 42권 1호 79-105(27pages)
DOI 10.36491/APJSB.42.1.5
UCI I410-ECN-0102-2021-300-000989116

공급망 내 상호 다른 목표를 가지고 있는 각 기업들은 자신이 추구하는 목표와 성과 달성을 위하여 다양한 자원을 필요로 하지만 개별기업이 모든 자원을 확보하기에는 시간, 공간, 비용과 같은 제약이 따르므로 필요로 하는 자원 확보를 위해 기업 간 상호 의존관계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 과정에서 기업 간 정보의 불균형, 제한된 합리성, 이해추구, 위험회피 와 같은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갈등(Conflict)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기회주의적 행위가 증가한다. 기존 공급망 연구 분야에서 갈등에 관한 연구들은 갈등의 원인, 갈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규명에 대해서만 진행되어 갈등해결 매커니즘 관점에서 갈등유형에 따른 구체적인 갈등관리전략을 제시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급망 내 거래과정에서의 갈등관리전략을 Kilmann and Thomas(1977)의 TKI모델을 활용하여 기업별로 세분화하고, 각 전략에 따라 파트너십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양보형과 협력형 갈등관리전략이 파트너십 요인인 관계몰입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계몰입은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갈등발생 시 양보형과 협력형 갈등관리전략을 사용하는 기업은 갈등관리와 함께 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계지속을 위한 투자와 노력과 같은 관계몰입을 잘 한다면 성과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기업들의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갈등에 따른 공급망 리스크를 최소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가장 큰 의의가 있다.

While individual enterprises with different objectives each other within supply chains require a variety of resources to achieve their own seeking goals and performances, it is necessary to form interdependent relationships among the enterprises to secure the resources what they need, as the individual enterprises are supposed to have limitations on such as time, space and cost to secure all the resources. In this process, conflict possibilities rise and opportunistic behaviors increase due to thos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unbalanced information among enterprises, limited rationality, pursuit of interests, and risk aversion. Those existing studies on conflicts in the field of supply chains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failed to present specific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based on the conflict typ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flict resolution mechanism as the studies have made only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causes of conflicts and the impact of conflicts on performance. In this study, therefore, it used the TKI model of Kilmann and Thomas(1977) to subdivide the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in the process of transactions within supply chains by enterprises, and looked into the impact on partnership and performance according to each strategy. As the results, it showed that those types of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such as concession type and cooperation type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relationship commitment as a factor of partnership, and it was identified that the relationship commitment had a positive(+) impact on performance. In other words,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enterprises making use of the concession type & the cooperation type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under the situation of conflict would be able to have a very positive impact on their performances if they can make good relationship commitment such as investments in and efforts for the sustainable relationship along with the conflict management, whil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 The most important meaning of this study lies on in terms of that it would be contributable to strengthening the partnership between enterprises and minimizing the risk of supply chains caused by conflicts through these results from the study.

Ⅰ. 서 론
Ⅱ. 문헌연구 및 이론적 배경
Ⅲ. 연구가설 및 모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