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31.128
3.149.231.128
close menu
KCI 등재
우리나라 사회영향투자 시장의 현황과 과제
Impact Investing Market in South Korea: Current State and Imperatives
라준영 ( June-young Rha )
중소기업연구 40권 1호 85-112(28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4016580

본 논문은 우리나라 사회영향투자 시장의 현황을 조사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하기 위한 연구이다. 사회영향투자는 사회적, 환경적 영향을 우선하면서 재무적 수익성도 추구하는 새로운 투자방식으로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사명인 사회적 기업에게 성장자본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사회영향투자 기관 10개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사회영향투자 시장의 투자 현황과 투자자의 산업 인식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우리나라는 해외에 비해 투자기관의 자산규모와 개별 프로젝트의 투자규모가 영세하고, 아직 규모 있는 성장자본 투자에는 나서지 못한 채태동기에 머무르고 있었다. 해외 투자자의 인식과 마찬가지로 일반 영리시장에 비해 투자위험을 높게 보고 있으며, 이를 해소할 수 있는 혁신적인 혼합형 투자방식을 필요로 하고 있다. 그래서 최근 사회영향투자 고유의 시장실패 요인과 투자위험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정부와 자선 부문이 제공하는 촉매자본의 역할이 새롭게 주목 받고 있다. 우리나라도 대규모 사회적 금융기금을 조성하고, 정부와 자선 부문이 협력하여 민간자본을 유인할 수 있는 혁신적인 투자수단을 마련해야 한다. 이와 함께 사회영향투자 생태계의 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법과 제도 개선, 인센티브 도입, 중간조직 육성, 사회영향 측정의 기반 마련, 관련 네트워크 조직의 활성화 등을 통해 민간 주도로 시장원리에 따라 사회영향투자 시장이 작동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여야 한다.

Impact investing refers to investment made into social enterprises and social funds with the intention to generate a measurable social or environmental impact alongside a financial return.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current state and industry recognition of impact investing in South Korea.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en financial intermediaries working in the Korean impact investing sector. The result shows that Korean impact investing market is still in the emerging stage and has not yet begun to invest in the growth stage of social enterprises. Korean intermediaries’ opinion on the problems of impact investing is in the same line with foreign impact investors’. They focused on a few key constraints as the most significant challenges; the shortage of high quality investment opportunities with track record, and the lack of appropriate capital source and innovative deal/fund structures across the risk/return spectrum. Theses challenges are mainly related to the market failure problem embedded in social enterprises. Impact investing has higher risk of deficit than commercial investment and so this risk should be resolved by new financial mechanisms such as various mix of grant, guarantee, and catalytic patient capital which the public and philanthropic sector usually provide with. This study presents a set of policy imperatives to nurture the impact investing ecosystem in South Korea; raising national fund of social finance, developing an innovative deal structure with catalytic capital, nurturing intermediary organizations, reforming regulations, developing new tax incentives, enhancing investment-readiness of investees, disseminating social impact assessment, and establishing an impact investing network across the sector.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우리나라 사회영향투자 시장의 현황 분석
Ⅳ. 우리나라 사회영향투자 산업의 과제
Ⅴ. 결 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