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953.jpg
KCI등재 학술저널

신입직원 이직의 전염효과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HR기능의 전략적 지향성의 조절효과

  • 779

신입직원 이직과 관련된 선행연구에서는 신입직원 이직의 선행요인에 연구의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여 왔다. 그러나 신입직원 이직은 조직 내 기존 직원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궁극적으로 조직성과에도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신입직원 이직이 조직수준 이직을 촉진하는지 그리고 그러한 부정적인 효과가 조직성과의 하락으로 이어지는 지에 대한 연구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이직전염이론을 기반으로 신입직원 이직이 전체 조직수준의 이직으로 전염되고 이를 통해 조직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옴을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신입직원 이직과 조직수준 이직간의 관계를 완화시키는 HR기능의 전략적 지향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인적자본기업패널의 331개 기업을 표본으로 하여 실증 분석한 결과 신입직원 이직은 조직 수준 이직으로 전염이 되며 더 나아가 기업성과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HR기능의 전략적 지향성 수준이 높은 경우 낮은 경우 보다 신입직원 이직이 조직 수준 이직으로 전염이 되는 효과가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Previous studies related to newcomer turnover focus on the antecedents of new employee turnover. However, newcomer turnover can send a negative signal to other employees in the organization and ultimately decreas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refore, studying whether newcomer turnover promotes turnover behavior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nd whether such negative effects lead to a decline i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s significantly important. Based on turnover contagion theory,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at newcomer turnover is spread to the overall organization-level turnover and negatively affects firm performance.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trategic orientation of the HR function to allev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ewcomer turnover and organizational-level turnover.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using 331 companies in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newcomer turnover leads to the overall organizational-level turnover and further negatively affects firm performance. In addition, when the level of the strategic orientation of the HR function is high rather than low,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newcomer turnover and overall organizational-level turnover is mitigat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