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7.214.69
3.137.214.69
close menu
KCI 등재
미술놀이치료를 활용한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증진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eacher’s Teaching Efficacy on Children’s Play using Art Play Therapy
한유진 ( Han Eugene ) , 강민수 ( Kang Minsoo ) , 안복희 ( An Bogheui ) , 원용희 ( Won Yonghee )
DOI 10.36431/JPE.12.3.1
UCI I410-ECN-0102-2021-000-00138136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우선, 관련 선행연구 및 요구조사를 수행하여 프로그램에 필요한 구성요소들을 추출한 후, 이를 기반으로 미술놀이치료 방법을 접목해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 소재 4곳, 민간 어린이집 내 누리과정 담임교사로서, 경력이 2∼3년 이상인 유아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총 10회기를 시행하였다. 그 연구대상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나눈 후, 실험집단에 대해서는 매 회기 놀이에 대한 교육 및 그에 따른 미술놀이 체험이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반면에 통제집단은 해당 교육이 수행되지 않았다. 그 결과, 미술놀이치료를 활용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을 향상하는데 매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결과는 새로운 누리과정 교육 개편에 맞는 교사교육의 필요성과 유아교사의 요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으로써 앞으로 국가차원에서 이루어지는 현직 유아교사 교사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improving preschool teacher's teaching efficacy on children's play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First, the preliminary studies and the demand surveys were conducted to extract the necessary components, and then based on that, the program was composed by combining art play therapy methods. An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program, a total of ten sessions of the program were carried out at four different private nursery schools in Seoul, for twenty teachers who have two or three years of experience as a teacher and are in the Nuri curriculum. The teachers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after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education on play each session and the art play experience accordingly, and the control group did not perform any educ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 teacher education program using art play therapy was very useful for improving preschool teacher's teaching efficacy on children's play.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ogram can reflect the necessity of teacher education and teacher's needs in accordance with the reorganization of new Nuri curriculum, and can be applied to in-service sites for teacher education at the national level.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Ⅳ. 교사교육 프로그램 효과 검증
Ⅴ. 결과 분석
Ⅵ.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