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99.51
3.145.199.51
close menu
KCI 등재
21세기 서양 작곡가들의 한국음악: 한국 시의 음악적 재현을 중심으로
Western Composers’ Encounter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Focusing on the Musical Representation of Korean Poetry
손민경 ( Son Mingyeong )
음악이론연구 38권 103-144(42pages)
DOI 10.36364/JMT.38.4
UCI I410-ECN-0102-2023-600-000590956

본 연구는 21세기 글로벌 시대 동·서양 문화 간의 급진적인 교류 환경에서 서양 작곡가들의 한국음악 수용이 확장되는 현상을 주목하여 음악의 양상과 미적 가치를 탐구한 것이다. 그간 서양 작곡가들의 한국음악 활용에 대해 단편적인 현상처럼 기술하거나 문화 전유의 시각에서 논의되는 경우가 많았기에, 이는 현시대의 변화되는 환경 속에서 창작과 작품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을 요한다. 이에 본고는 서양 작곡가들이 한국 악기를 활용한 작품 중 한국 시에 영감을 받은 다음의 세 작품 - 미국 작곡가 토마스 오스본의 ≪거문고를 위한 ‘해를 잡아매야’≫(2013), 제레드 레드몬드의 ≪대금, 아쟁, 바이올린, 피아노를 위한 ‘캄캄한 눈을 감았네’≫(2017), 독일 작곡가 하인리히 슈타머의 ≪가야금, 첼로, 장구를 위한 ‘풀잎 소리’≫(2005/06)- 을 면밀히 고찰하였다. 세 작품은 한국을 단순히 동양풍으로 환원하여 표상하기보다 좀 더 구체적인 한국 전통음악에 대한 탐구가 있었다는 점에서 진전된 타문화 재현이 있었다. ≪해를 잡아매야≫의 경우 한국 고전시가를 탐구하여 시적 대상의 역동적인 감각을 전통악기의 확장된 주법으로 형상화하였다. ≪캄캄한 눈을 감았네≫서는 한국 현대시의 현대적 정감에 주목하여 화자의 미묘한 감정을 두 악기 간의 음향적 상호교차를 통해 표현주의의 어법으로 구현하였다. ≪풀잎 소리≫는 한국의 현실 참여시를 탐구하여 시에 내재한 역사적 상황을 이중문화적 악기를 통해 극적으로 그려내었다. 즉, 세 작곡가는 한국 전통 음향과 악기 주법에 대한 상세한 탐구를 통해 타문화의 도구적 전유가 아닌 한국 고유의 소리를 발굴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러한 작업은 궁극적으로 21세기 서구 현대음악의 영역이 동아시아 문화에 이어 한국 전통음악과 긴밀히 호흡하며, 서구 중심적 세계관의 의식적 관행에서 벗어나 탈식민주의 미학의 새로운 예술적 가능성을 보여준다.

This study deals with Western composers’ reception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its aspects based on the intercultural exchanges of the 21st century. Despite the fact that Western composers’ use of Korean music has gradually increased, in many cases, academia has often described this phenomenon at a superficial level or viewed it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appropriation. Therefore, the researcher sees a need to study musical works and their compositional procedures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on. Accordingly, the researcher carefully selected the three following works by Western composers that were inspired by Korean poetry and involves Korean instruments: A Wish to Stop the Setting Sun for Geomungo (2013) by Thomas Osborne, Closed My Dark Eyes for Ajaeng, Daegeum, Violin, and Piano (2017) by Jared Redmond, and Pulip Sori for Gayageum, Cello and Janggu (2005/06) by Heinrich Stahmer. These musical works present an advanced representation of other cultures in that the composers explore more specific Korean traditional music rather than simply representing Korea by reducing it to an oriental/Asian style. In the case of Sun, his exploration of classical Korean poetry is embodied in the expanded playing techniques of the instruments to describe the dynamic sense of the object. In Closed My Dark Eyes, focusing on the contemporary sentiment of Korean contemporary poetry, the narrator’s subtle emotions are revealed in an expressionism through the acoustic intersection between Korean and Western instruments. Pulip Sori delineates the reality of Korean poetry and dramatically depicts historical situations inherent in the poetry through cross-cultural instruments. In sum, by searching for the detailed acoustic systems and playing methods of Korean instruments, the composers endeavor to discover the local identity of Korean music. Therefore, these works reveal the new artistic potential of post-colonial aesthetics, as Western contemporary music in the 21st century closely intersects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1. 서론
2. 21세기 글로벌 시대 서양 작곡가들의 한국적 요소의 접근과 활용
3. 한국 시를 활용한 서양 작곡가들의 음악 작품 분석
4. 결론: 21세기 서양 작곡에서 한국음악 활용의 탈식민적 가능성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