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국내 제조업의 대응전략: 독일 제조업과비교분석

The Countermeasures of Domestic Manufacturing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Comparative Analysis on German Manufacturing Industries

상품학연구
약어 : JPR
2018 vol.36, no.3, pp.55 - 66
DOI : 10.36345/kacst.2018.36.3.007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연구분야 : 경영학
Copyright © 한국상품학회
84 회 열람

본 연구는 수출주도형 한국경제구조와 매우 유사한 제조업 강국인 독일의 제조업분야에서의 4차 산업혁명 대응과정과 정책을 고찰하고 국내 상황과 비교분석하여 향후 국내기업의 생산·운영분야에서 종합적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독일의 ‘인더스트리 4.0‘은 표준 관련 추진의 부진, 중견·중소 기업의 중요성 인식 부족으로 인한 참여 저조, 전문 인력부족, 인력재교육, 초기투자 비용 및 보안 문제가 발생하였다. 독일은 정부기관의 주도 아래 학계, 산업계, 노조가 함께 참여하여 보안이 강화된 네트워크 기반인 ’플랫폼 인더스트리 4.0‘을 장기 전략으로 제시하고 있다. 한국은 제조업 혁신 3.0을 토대로 제조업에서 4차 산업 혁명을 진행 중이나 독일과 비교해 볼 때 부족한 점이 많다. 한국은 민관연이 협력하여 표준화를 확립하고 스마트 공장의 수준을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협력하여 고도화 단계로 구축하고 스마트공장 관련 수출산업을 일으켜야 한다. 기존의 제조업 혁신 3.0보다 혁신적인 제조업 혁신 4.0을 구축하여 제조업에서 스마트화의 범위를 확대하고 정부는 주도적이면서 중소기업들의 문제점들을 해결해 주는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특히 스마트공장의 고도화를 이루기 위하여 IT 보완문제와 해당 법률적인 뒷받침이 해결되어야 한다.

In this study, the comprehensive direction was presen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field of domestic companies after considering the response process and policies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manufacturing sector of Germany, a major manufacturing country, and making a comparative analysis with domestic situations. Germany has been leading other countries in the private sector in the " Industry 4.0 " since 2012. " Industry 4.0 " caused low participation, shortage of professional staff, reeducation of workforce, initial investment costs, and security issues caused by poor promotion of standards and small and medium sized businesses. Under the leadership of the government, Germany is pushing for a long-term strategy of " Platform Industry 4.0, " a network based on enhanced security, by joining academia, industry and labor unions. Korea is undergoing its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manufacturing, based on the Manufacturing Innovation 3.0, but is lacking in many ways compared to Germany. Korea should establish standardization in cooperation with the private sector, establish the level of smart plants in cooperation with large and small companies to advance them into a higher phase, and develop export industries associated with smart plants. Innovative Manufacturing Innovation 4.0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Manufacturing Innovation 3.0 should be deployed to expand the scope of smart manufacturing, while the government should play a leading and dispute-resolving role in the industry. In particular, IT supplementation problems and their legal support should be addressed in order to achieve the elevation of smart plants.

독일, 4차 산업혁명, 제조업, 스마트공장
Germany, 4th Industrial Revolution, manufacturing industry, smart plants

  • 1. [보고서] 권준화 / 2016 / 독일 스마트공장 현황과 시사점
  • 2. [보고서] 김상훈 / 2017 / 4차 산업혁명-주요 개념과 사례-
  • 3. [학술지] 김승현 / 2017 /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주요국의 혁신정책 / Entrepreneurship Korea / 5 : 3 ~
  • 4. [보고서] 김은 / 2014 / 독일 연방전부의 ICT 융합 R&D 지원 정책
  • 5. [보고서] 나준호 / 2016 / 미국 독일 일본의 스마트 팩토리 전략
  • 6. [보고서] 박형근 / 2014 / 인더스트리 4.0 독일의 미래 제조업 청사진
  • 7. [보고서] 백수현 / 2016 / 스마트제조의 글로벌 현주소와 표준화 추진방향
  • 8. [보고서] 산업통상자원부 / 2014 / 제조업 혁신 3
  • 9. [보고서] 이상동 / 2017 /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는 주요국의 표준정책분석 및 시사점
  • 10. [보고서] 이상동 / 2015 / 스마트공장 제도화 연구-스마트공장 표준체계연구
  • 11. [보고서] 이재준 / 2018 / 4차 산업혁명 대응방안
  • 12. [보고서] 임재현 / 2015 / 다시 시작하는 인더스트리 4.0
  • 13. [보고서] 장우석 / 2017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국가혁신전략 수립 방향
  • 14. [보고서] 장준양 / 2017 / 독일·일본의 4차 산업혁명 대응정책과 시사점
  • 15. [보고서] 조윤정 / 2015 / 국내 제조업 고도화 방안으로서 스마트공장의 가능성
  • 16. [단행본] 클라우드 슈밥 / 2016 / 클라우드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 새로운현재
  • 17. [보고서] MaketsandMarkets / 2018 / Smart Factory Market worth 205.42 Billion USD by 2022
  • 18. [기타] Staufen AG / 2015 / Deustscher Industrie 4.0 Index 2015
  • 19. [인터넷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홈페이지
  • 20. [인터넷자료] / 독일표준협회(DIN)홈페이지
  • 21. [인터넷자료] / Siemens 홈페이지
  • 22. [인터넷자료] / World Bank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