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Home

평생교육 프로그램에서 뜸·침요법과 명상훈련이 신체 증상, 수면의 질 및 자율신경계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xibustion⦁acupuncture and Meditation training on Physical symptoms, Sleep quality,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activity

첫 페이지 보기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oxibustion, acupuncture, and meditation on sleep quality and physiological activation among women suffering from sleep disorders in a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this purpose, 24 women participating in the Group J Lifelong Learning Program were randoml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wice a week, consisting of eight sessions, each lasting about 60 minutes, throughout October 2021. The findings reveal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physical symptoms and sleep quality for both groups from before to after the program(p<.05), with the experimental group experiencing greater enhancements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urthermore, there were notable changes in sympathetic and parasympathetic nerve activity, as well as in stress resistance, before and after program participation(p<.001). This study has shown that non-invasive techniques can effectively ameliorate sleep disturbances and enhance life satisfaction among women. Consequently, it is anticipated that programs incorporating acupuncture and moxibustion could be implemented in welfare centers and facilities for the elderly to boost physical and emotional well-being and elevate life satisfaction.
한국어
본 연구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에서 수면장애를 겪고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뜸, 침, 명상이 수면 의 질과 생리적 활성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J군 평생 학습 프로그램에 참여 중인 여성 24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구분하였으며, 2021년 10개월 동안 주 2회, 각 세션당 약 60분씩 총 8회에 걸쳐 실험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과 비교군 모두에서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를 비교했을 때 신체적 증상과 수면의 질에서 유의한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p<.05). 실험군이 비교군에 비해 더 큰 개선 효과를 보였지만,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추가로, 교감신경 활성도, 부교감신경 활성도, 그리고 스트레스 저항도 모두 프로그램 참여 전후에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p<.001). 본 연구를 통해 비침습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수면장애를 개선하고, 여성의 생활 만족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 따라서 침과 뜸을 포함하는 이러한 프로그램을 복지센터나 노인 시설에 서 적용한다면 신체적 및 정서적 기능의 향상과 더불어 생활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국문초록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연구 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 대상 및 절차
3. 연구 도구
4. 자료 분석
5. 윤리적 고려
Ⅲ. 연구 결과
1. 인구 사회적 특성 및 수면 관련 변수의 동질성 검증
2. 신체 증상과 수면의 질에 대한 효과 검증
3. 자율신경계에 대한 효과 검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최충기 [ Chung-gi Choi | 삼육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박사과정(Doctoral student, Sahmyook University) ]
  • 손애리 [ Aeree Sohn | 삼육대학교 보건관리학과 교수(professor, Sahmyook University) ] Corresponding Author
  • 배정현 [ Jeonghyun Bae | 삼육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박사과정(Doctoral student, Sahmyook University) ]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한국에듀테인먼트학회 [Korean Edutainment Society]
  • 설립연도
    2019
  • 분야
    복합학>학제간연구
  • 소개
    에듀테인먼트(Edutainment)는 에듀케이션(education)과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의 합성어로 게임을 하듯 즐기면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을 말한다. 에듀테인먼트는 학습과정에서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수업에서의 오락성 즉, 도전성, 몰입, 모험성 등이 중요한 요소로 고려한다. 에듀테인먼트 영역에서는 학습자들이 학습과정에서 재미요소를 통해 학습동기를 강화하고 학습효과를 높이는 전략의 사용을 강조한다. 그 동안 교육의 변화에 대한 요구는 엄청나게 변화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학교교육이나 평생교육에서는 강의중심 수업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실질적인 변화는 아직도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에듀테인먼트학회는 고대부터 중시되어 왔던 암기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즐겁고 흥미로운 교육 즉, 엔터테인먼트를 지향하는 교육을 통해 학습자와 교수자가 모두 만족할 수 있는 혁신적 변화를 추구하고자 한다. 학교와 사회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교육에서 학습자에게는 흥미와 재미, 즐거움을 통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다루며, 교수자에게는 즐거움과 보람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을 다룬다. 또한 한국에듀테인먼트학회는 교육이 이루어지는 모든 영역에서 오락성 즉, 엔터테인먼트를 강조하고, 이를 통한 학습효과를 탐구하는데 중점을 두고 연구하는 학회이다.

간행물

  • 간행물명
    에듀테인먼트연구 [Journal of the Edutainment]
  • 간기
    계간
  • pISSN
    2671-9789
  • eISSN
    2672-0329
  • 수록기간
    2019~2024
  • 등재여부
    KCI 등재
  • 십진분류
    KDC 370 DDC 370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에듀테인먼트연구 Vol. 6 No. 1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페이지 저장